Abstract:
PURPOSE: A power supplying method of a miniature motor car is provided to eliminate a structure for supplying a power by rapidly charging a super capacitor of a motor car for stopping of the motor car. CONSTITUTION: A contactor of a motor car contacts with a power line of a station when the motor car arrives at the station(1001). A super capacitor of the motor car is rapidly charged while the contactor of the motor car contacts with the power line of the station(1002). The contactor of the motor car is separated from the power line of the station when the motor car leaves the station(1003). The motor car is driven to the next station using the power charged in the super capacitor into a motor driving power(1004).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정보를 이용하여 열차의 운행을 정지하도록 동일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ATS(자동열차정지장치), ATC(자동열차제어장치) 또는 ATP(자동열차방호장치) 및 연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열차제어시스템상의 선로정보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캐드파일변환 후 선로도면편집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료구조를 생성함으로써 선로도면이 들어있는 상기 캐드파일을 상기 ATS, ATC 또는 ATP 및 연동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데이터형식을 갖는 새로운 선로정보로 변환하는 선로정보생성관리부, 상기 새로운 선로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새로운 선로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한 모뎀부, 및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모뎀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새로운 선로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열차의 운행을 위한 정보로써 제공하도록 ATS, ATC 또는 ATP 및 연동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선로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드파일의 변환을 이용한 선로정보생성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선로정보생성, 캐드파일, 자료구조, 선로도면편집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인 열차의 위치결정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상무선국에서의 열차 위치결정오차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지상무선국의 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기준신호와 차상무선국이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신호를 지상무선국 수신기가 수신하는 위상정보신호로부터 각각 샘플링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신호와 위상정보신호의 샘플링 신호에서 각각 부호가 바뀌는 샘플을 찾는 단계, 부호가 바뀌는 샘플에서 크기가 제로인 f(t)=0을 계산하는 단계, f(t)=0인 t의 기준신호의 시간(t a )과 f(t)=0인 t의 위상정보신호의 시간(t b )을 이용해서 시간차(t b -t a )를 구하는 단계, 지상무선국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간차에 대한 차상무선국의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임. 위상차, 열차추적, 위치추적, 지상무선국, 차상무선국, 오차보정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노선으로 움직이는 열차라는 이동체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신뢰성을 갖는 무선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점 유무에 따라 선로상에서 열차가 이동할 때 지상무선국(WAYSIDE RADIO STATION)에서 차량무선국(VEHICLE RADIO STATION)의 위치를 추정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1 차원에서 물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상차를 이용한 선로상의 열차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주파수 의 정현파신호를 기준신호로 발생하는 신호발생기, 상기 기준신호를 지상무선국 변조부를 통해 FM방식으로 변조하여 채널1의 반송파에 실어서 차량무선국(VRS)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지상무선국 송신부, 차량무선국(VRS)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지상무선국 수신부, 상기 지상무선국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기준신호와 위상을 비교하여 이동체인 차량의 위치에 따라 다른 위상값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상무선국(WRS1 - WRS3); 그리고 상기 지상무선국(WRS1 - WRS3) 송신부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무선국 수신부, 상기 차량무선국 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FM방식으로 복조하는 차량무선국 복조부, 상기 차량무선국 복조부에서 복조한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무선국 변조부, 상기 차량무선국 변조부에서 변조된 신호를 채널2의 반송파에 실어서 지상무선국(WRS1 - WRS3) 수신부로 송신하는 차량무선국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무선국(VRS)을 구비하여; 영역1(Z1)에서 지상무선국(WRS1)과 차량무선국(VRS)은 채널CH1과 CH2를 사용하여 열차의 위상정보를 얻으며, 영역1(Z1)과 인접된 영역2(Z2)에서의 지상무선국(WRS2)과 차량무선국(VRS)은 CH3과 CH4를 이용하여 열차의 위상정보를 얻으며, 영역2(Z2)에서 영역1(Z1)과 대향방향으로 인접된 영역3(Z3)에서의 지상무선국(WRS3)과 차량무선국(VRS)은 채널CH1과 CH2를 이용하여 열차의 위상정보를 얻도록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위상차, 열차추적알고리즘, 열차추적시스템, 지상무선국, 차량무선국, 위상추적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전철 차량용 제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량전철의 차량 전면하부에 설치되어 전면 유리에 발생되는 성에나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경량전철 차량의 전면 유리창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상기에 있어서, 상측부에 개구된 토출구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이 투입되면 열을 발생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발생된 열을 상기 토출구로 배출하는 히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량전철 차량에 사용되는 제상기의 히터와 송풍팬의 구조의 변경으로 인해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제상기의 크기 및 용량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경량전철 차량, 히터, 송풍팬, 타이머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철도 급전계통에 있어서 열차에 DC 전력을 공급하는 각 변전소에 설치되어 지락사고 보호기능을 갖는 보호계전기 시스템의 모선에서 지락 혹은 단락 사고가 발생한 경우 차동 릴레이를 이용하여 모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모선차동보호계전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전소의 출력측 정류기들과 각 피더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정류기 모선(포지티브 버스) 사이에 정류기용 차단기를 설치하고, 네가티브 버스와 대지사이에, 접지저항기와 정상운전시 고저항특성을 나타내어 누설전류를 기준치이하로 제한시키고 지락사고시 저저항특성을 나타내어 검출에 필요한 크기의 지락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제한수단을 직렬로 연결하여서 된 비접지 DC 급전시스템에서의 보호계전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 모선에 연결된 모든 브랜치의 전류를 측정하여 그 합이 사전에 설정된 모선사고 판단 기준값 이상이면 모선 사고로 판단하여 정류기 모선과 연결된 모든 차단기를 트립하여 사고모선을 시스템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이루어진 모선사고보호부가 설치된 구조의 발명임. 모선보호, 지락보호, 보호계전기, DC 급전시스템, 전력공급시스템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노선으로 움직이는 열차라는 이동체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신뢰성을 갖는 무선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무선국(WAYSIDE RADIO STATION)에서 차량무선국(VEHICLE RADIO STATION)의 위치를 추정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1 차원에서 물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상차를 이용한 선로상의 열차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지상무선국(WRS1)의 안테나부분과 차량무선국(VRS)의 안테나부분의 최대거리가 1/4파장의 길이보다 작게 전파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지상무선국인 WRS1과 WRS2로 하고, 상기 WRS1과 VRS의 간격을 고려하여 선택된 주파수 스펙트럼은 MF대역의 주파수가 되는 선로상의 위치추적시스템에 있어서, 의 주파수의 사인신호를 신호발생기의 기준신호로 가지고 있고, 송신부에서는 이 사인신호를 변조부를 통해 FM방식으로 변조하여 채널1의 반송파에 실어서 차량무선국(VRS)의 수신부로 보내어지고, 수신부에서는 차량무선국(VRS)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이렇게 수신된 신호는 비교기에서 기준신호와 위상을 비교함으로 이동체의 위치에 따라 위상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지상무선국(WRS1 - WRS3); 그리고 수신부에서는 지상무선국(WRS1 - WRS3)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조부를 통해 FM방식으로 복조하고, 반송파에서 신호를 분리하며, 복조한 이 신호는 변조부를 통해 변조하여 송신부에서 채널2의 반송파에 실어서 지상무선국(WRS1 - WRS3)의 수신부로 보내는 차량무선국(VRS)을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위상차, 열차추적알고리즘, 열차추적시스템, 지상무선국, 차량무선국, 위상추적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의 지락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접지방식의 직류 급전 시스템에서 지락보호계전기의 동작을 위한 지락전류 검출을 위해 정류기의 네가티브 버스를 저항과 전류제한수단을 통하여 접지시킨다. 여기서 전류제한 수단의 특성은 정상운전 시에는 고 저항 특성을 나타내어 누설전류를 기준치 이하로 제한시키고 지락사고시에는 매우 작은 저항 특성을 나타내어 검출에 필요한 충분한 크기의 지락전류를 흐르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락 유무의 판단은 변전소를 기준으로 검출된 지락전류값을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여 수행되며, 지락 구간의 판단은 상기 변전소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급전선과 귀환선에 흐르는 전류값의 합을 서로 비교하고 인근 변전소로부터 전달되는 지락사고 감지신호 유무에 의해 수행되는 방향차동지락보호계전시스템 및 지락검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 시스템에 있어서, 열차의 시험을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무선랜을 이용한 열차 무선 통합 계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차 계측 시스템은 계측기마다 별도로 시험하고, 각각의 계측기마다의 계측 데이터를 취합하여 각 계측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여야 하므로, 열차의 주행을 시험항목에 따라 열차를 여러번 운행,동작시켜야 하며, 또한 각 계측기에서의 계측시간이 일치하지 않고, 시험환경이 달라질 수 있어 계측된 데이터의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다. 본 발명에서는 시험항목에 따른 계측위치마다 계측기를 설치하고, 각 계측기를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계측시간을 동기화시켜 계측데이터를 생성, 저장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1회 또는 2회의 시험으로 필요한 시험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함은 물론 유효한 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를 개량하여 전면유리창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차량 운행시의 주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두부를 구성하는 마스크의 제작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량전철의 전두부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전면유리창과, 상기 전면유리창의 가장자리 양측에 위치하여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보조창과, 상기 보조창의 양측에 배치되어 삼각형태를 이루는 측면유리창을 가지는 일체형의 마스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마스크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향해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