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method for extracting mugwort is provided to improve the liver detoxication capacity of a mugwort extract by using a mixture extract consisting of water and ethanol in the ratio of 70:30 for low-temperature extraction of the mugwort.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after dipping mugwort from Ganghwa in a mixture solvent, ten times of the weight of the mugwort, prepared by mixing water with ethanol in the ratio of 70:30 using an extraction flask at a temperature of 20-25 deg.C for 2 hours, performing a primary low-temperature extraction thereon at a temperature of 40-45 deg.C for 12 hours using an extraction flask having a vertical reflux condenser; and (b) after dipping the first extract in the solvent at a temperature of 20-25 deg.C for 2 hours, performing a secondary low-temperature extraction thereon at a temperature of 50-55 deg.C for 12 hours using an extraction flask having a vertical reflux condenser.
Abstract:
PURPOSE: An edible centella asiatica nanoparticle using chitoic acid, a producing method thereof, and food and beverages containing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absorb active ingredients of centella asiatica, and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CONSTITUTION: A producing method of an edible centella asiatica nanoparticle using chitoic aci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extracting water soluble active components from centella asiatica using a water soluble solvent; dissolving 0.05~0.5wt% of chitoic acid to a weak acid solution, and evaporate-drying for obtaining the thin oil phase of the chitoic acid; and mixing the thin oil phase of the chitoic acid with the water soluble active components of the centella asiatica by disperse-mixing. The size of the nanoparticle is smaller than 200nano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을 포함하는 탁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탁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원료의 증자 및 술덧 제조 단계;와 수액을 포함하는 주조용수의 제조 단계;와 상기 술덧을 상기 주조용수에 담금하고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물의 제성 단계;를 포함하는 수액을 포함하는 탁주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탁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된 수액을 포함하는 탁주는 수액에서 나는 신선한 향을 지닐 뿐 아니라 종래 시판 탁주와 비교하여 기호도, 당도 및 알코올도수가 높게 나타나 제품화를 위해 별도의 첨가 공정이 불필요하며 수액 특유의 유용성분에 의한 활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탁주에 비하여 발효시 산도관리 및 품온유지가 용이할 뿐 아니라 수액이 가지는 골다공증 개선효과, 숙취제거, 내장기관의 노폐물 제거, 위장병과 신장병 예방, 이뇨작용 등의 효능을 가진 기능성 주류로서의 효과도 가진다. 수액, 탁주(막걸리), 당도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심층수의 수용성 나노입자화를 통한 제품성 향상 및 생리활성 증진 기술과 그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량의 미네랄을 함유한 심층수의 기능성 소재화 및 제품화가 가능하도록 심층수 성분의 생리활성 및 생체활용성을 증진하고자 식용소재를 이용하여 나노입자화하고 이를 식·음료소재 및 화장료에 적용 가능하도록 실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해양심층수는 염분이 많고 미네랄의 함량이 높아 제품화를 위한 가공적성이 매우 낮다. 특히 다양한 미네랄로 이루어져 체내에서 흡수속도 및 농도를 조절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을 통한 해양심층수의 나노입자화는 유용 활성성분의 세포 침투성 증진 및 다양한 방출기작 조절을 통한 생체활용성 증진이 가능함에 따라 심층수에 녹아있는 미네랄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공정이다. 또한 종래 심층수 및 지하수 등이 높은 미네랄 함량으로 인해 기호성이 떨어지고 과량 섭취 시 체내에서 결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따르는데 비해 식용가능소재를 이용해 나노입자화된 고함량의 심층수 미네랄은 체내에서 활용성 및 안정성이 높아 식·의약품의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수용성 미네랄의 식용가능 나노입자화 기술을 포함하는 발명으로 기존 나노입자화 공정이 charge의 영향으로 미네랄의 입자화가 어려운 것과 달리 탈염된 심층수를 레시틴(lecithin),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등의 식용 소재로 포접하여 w/o 형태의 나노입자를 300 ㎚ 이하의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수용성 미네랄의 효율 및 활용성을 높일 뿐 아니라 안전성이 뛰어나고 제품성이 향상된 식용가능 나노입자를 제조하는데 그 특징을 가진다. 해양심층수, 나노입자, 레시틴, 젤라틴, 키토산, 리포좀, 수용성미네랄
Abstract:
PURPOSE: A producing method of soymilk containing nature gamma-aminobutyric acid is provided to insert the nature gamma-aminobutyric acid to the soymilk without adding glutamic acid. CONSTITUTION: A producing method of soymilk containing nature gamma-aminobutyric acid(GABA)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oaking soybeans to water, and boiling; crushing the boiled soybeans inside the water to make soymilk; adding a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with the protease-producing ability and the GABA-producing ability to 1/10 of the soymilk, and two-stage fermenting to produce the GABA; filtering the fermented mixture to remove bean-curd dregs; and mixing 9/10 of the soymilk with the filtrate.
Abstract:
본 발명은 브로콜리의 유용 생리활성 증진이 가능한 나노입자 제조방법으로 상세하게는 브로콜리 유용성분이 액포막에 싸여있어 체내에서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고자 브로콜리의 추출 시 초음파를 병행함으로써 유용성분의 액포막을 파괴하고 유용성분의 생체활용성을 증진시키는 공정, 및 이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유용성분의 파괴 후 반응, 가공물의 맛과 기호도 저하 등을 방지하고자 브로콜리 초음파 추출물의 식용가능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제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한 브로콜리 수용성 추출물의 식용가능 나노입자 제조 방법은 액포막에 싸여있는 브로콜리 유용성분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구조 변형함으로써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용출된 유용성분을 식용가능 소재로 다시 나노입자화 함으로써 50 내지 300 ㎚ 크기의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브로콜리 유용성분의 생체활용성을 크게 증진할 뿐 아니라 가공 공정에 적용하여 맛과 기호도를 증진할 수 있어 브로콜리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화 공정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을 통한 브로콜리 유래 수용성 유용성분의 식용가능 나노입자화 공정은 액포막에 싸여있는 브로콜리 유용성분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구조 변형함으로써 활성화하고, 이를 통해 용출된 유용성분을 식용가능 소재를 이용하여 다시 나노입자화 함으로써 50 내지 300 ㎚ 크기의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공정 및 그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 종래 고분자를 이용한 나노입자화 제조방법이 대부분 지용성 고분자 를 대상으로 유기용매 등 비식용소재를 이용함에 따라 식용으로 사용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제품화를 위한 안전성 검증에 어려움이 따르는데 비하여 안정성이 높을 뿐 아니라 높은 생체활용성을 통한 생리활성 증진을 특징으로 한다. 브로콜리, 레시틴, 젤라틴, 키토산, 나노입자, 리포즘, 초음파추출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xtracting saccharification liquid for alcohol fermenta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ethanol using the saccharification liquid are provided, which can produce ethanol high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CONSTITUTION: A method for extracting saccharification liquid for alcohol fermentation comprises a step of putting one selected from non-edible group consisting of brassica campestris part, barley stalk, and Ulva pertusa and water into a compression liquifying extractor at 1:10 mass rate and extracting it at 25-30 deg.C and 500-1000Mpa; and step of performing compressed liquefied extraction at 1000Mpa for 30 minutes after raising the pressure by 50 pressure every ten minutes for 150 minutes.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10월부터 3월까지는 가공하지 않은 생굴의 형태로 고가에 주로 유통은 있으나 이후 산란기에 해당하는 4월부터 7월 사이에는 동결 굴, 건조 굴 및 통조림용 자숙 굴 등의 형태로 재조되어 국외로 수출되고 있고 일부만 건조 굴 및 기타 저차 가공 천연 조미료 등의 개발에 불과하여 양식산 굴의 소비에 획기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향장 소재로의 활용이 전무하며 또한 이의 연구도 전무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굴을 주재로 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펩타이드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굴은 자체 가수분해 효소가 많으며 수분활성도가 높은 식품으로 쉽게 상하는 결점이 있어 유통, 가공 상에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는 식품이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의 마비성 패류독(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발생은 주로 남해안 일원의 폐쇄 내만에서 2월부터 6월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주 양식 대상 품종인 굴의 수확기와 일부 중복됨에 따라 독성 검사를 거쳐야 하는 까다로운 공정을 가지고 있다. 가수분해된 단백질 분해산물은 소화흡수가 용이하며 물에 녹아 조미료 및 향장품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연구에 의하면 펩타이드는 면역조절 작용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동물 또는 인체에 투여 시 시험관내 및 생체내 모두에서 효소에 의해 급속히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흡수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은 기존 식품 재료이므로 독성이 전무하며 최근 펩타이드의 항산 화, 미백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펩타이드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있다.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이다. 멜라닌은 인체의 피부에 존재하며 자외선에 대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아민, 유리기, 금속이온 등과 같은 세포 독성 물질에 대한 제거제로 작용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반면에 체내, 외적인 여러 요인에 의한 멜라닌 생성이 증가되어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 형성 세포에 전달되고 피부 상피층에 축적되어 과색소 침착 현상이 나타나며 이런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인체의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의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멜라닌의 색소침착은 인체의 병리적 무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미용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펩타이드를 환경적, 경제적, 시간적으로 최적의 추출할 수 있는 가공공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식품으로만 이용되던 굴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다양한 펩타이드들이 탁월한 항산화제능을 갖추고 있어 이의 공급을 통한 세포손상방지효과까지 갖추어 피부노화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손상된 피부 조직의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재생에 있어서도 탁월한 효과를 갖는 향장 소재의 활용도 가능한 공정이 될 것이며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치료학적 조성물, 및 이들 펩타이드 및 조성물의 투여에 의한 인체 및 동물의 치료방법도 제공할 수 있는 폭넓은 활용분야를 갖고 있는 효율적인 펩타이드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미백활성물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열수 추출 방법과 초음파 추출을 병행하여 참굴 추출물의 미백 활성 물질 용출의 최적화 공정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열수 추출 방법과 저온 복합 추출을 비교하여 참굴 추출물의 향장 미백활성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은 추출할 때 낮은 추출 효율과 이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열로 인한 많은 유용성분의 파괴, 단백질의 변이, 성분의 손실, 가용성분 위주의 추출, 열에 대하여 불안정한 것 등의 단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반해 초음파 추출의 병행 방법은 추출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생물 활성율과 식물 성분의 용매 추출동안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용매 내에서 초음파(ultrasound)의 공동(cavitation)효과에 의해 유발된 분자운동이 활성화 에너지로 작용하여 세척이나 반응성 향상, 특정성분의 추출 공정에 도입되어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즉, 초음파 추출의 병행 방법은 추출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생물 활성율과 굴 성분의 용매 추출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백활성물질의 용출량 증가와 미백활성의 증진을 추구하였다. 굴, 초음파 분쇄기, 단백질, 펩타이드, 미백활성
Abstract:
A method for preparing oyster peptide is provided to secure effects of whitening and skin regeneration without side effects and prevent corrosion of an apparatus due to no need of thermal treatment using ultrasonic wave. A method for preparing oyster peptide using ultrasonic wav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extracting oyster powder with hot water of 40°C, treating the extracts using 90KHZ of an ultrasonic extractor for 10 minutes and pepsin-treating the ultrasonic wave-treated extracts at 37°C for 2 hours to prepare an oyster peptide group; and separating peptide with whitening activity from the oyster peptide group. In the ultrasonic wave step, the extract is repeated by a process of being exposed to ultrasonic wave for 5 seconds and paused for 5 seconds in a double boi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