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감응성을 갖는 소수성 치환시킨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를 이용한 고생존율 및 고기능성의 내분비 세포클러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응성을 갖는 소수성 치환시킨 글리콜 키토산 유도체는 췌장 소도 세포 클러스터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며 형성된 클러스터는 인슐린 분비능 또한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서, 췌장 소도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약물의 전달, 및 췌장 소도 세포의 세포배양 분야 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Nutlin-3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Nutlin-3α 화합물은 p53 과발현을 통해 결핵균에 감염된 대식세포의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결핵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1~3의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벼메뚜기( Oxya chinensis sinuosa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 손상을 억제하며, MMP-1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므로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정련 방법은 바이너리 상태도상 금속 산화물의 금속인 제1금속과 공정 점(eutectic point)을 갖는 금속 음극을 이용한 전해환원을 통해, 상기 제1금속과 상기 액체 금속 음극의 금속인 제 2금속간의 합금(alloy)을 제조하는 전해환원 단계; 및 고화된 상기 합금을 전해정련하여, 상기 합금으로부터 제1금속을 회수하는 전해정련 단계;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3-(4-클로로페닐)벤조[4, 5]이미다조[2, 1-b]싸이아졸-6-카복실산 의 MCH 신호 전달 조절 기능에 관한 것으로, 3-(4-클로로페닐)벤조[4, 5]이미다조[2, 1-b]싸이아졸-6-카복실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MCH 신호 전달 조절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 예를 들어 비만, 당뇨병, 우울증, 불안증 등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PARK2 돌연변이 유전자를 이용한 파킨슨병의 진단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PARK2 돌연변이는 AIMP2 및 SNCA 단백질의 분해를 억제하므로써, 파킨슨병을 유발하고 악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PARK2 돌연변이 여부 및 파킨슨병이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확인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PARK2 돌연변이를 활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스크리닝함으로써, 파킨슨병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열특성이 우수하여 겔 고분자 전해질의 메트릭스에 적합한 플라즈마 고분자 박막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박막과 상기 고분자 박막이 적용된 겔 고분자 전해질과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고분자 모노머 계면에 플라즈마를 가하여 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중합에 의한 고분자 박막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박막과 상기 고분자 박막이 적용된 겔 고분자 전해질과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혈청 N-당쇄 지도, 인간 혈청 N-당쇄 라이브러리 및 이를 이용하여 혈청 시료를 검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상인과 환자의 혈청시료 200여 개로부터 당쇄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정상인과 환자 모두에게서 100% 발견되는 18개의 기본 당쇄를 찾아내었다. 이 기본 당쇄 18종의 존재는 인간 혈청시료가 채취 및 처리과정에서 문제가 없음을 검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인간 혈청 단백질의 N-당쇄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당쇄 종류가 매우 많지만, 실제로 N-당쇄는 도 3a, 3b, 3c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조만이 존재함을 밝혔으며, 존재하는 구조의 N-당쇄들의 출현 백분율을 밝힘으로써 출현 확률이 낮은 N-당쇄들을 특정 질환의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