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이용한 당귀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으로, 기존 일반 추출 방법으로는 유효성분을 쉽게 얻지 못한다는 점과, 고온 추출 시 활성 물질을 파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선택한 당귀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추출방법은 65~80℃에서 25㎸/㎝의 전기장을 5~20분간 2~3회 정도 주어 천연물인 당귀로부터 유효 성분을 뽑아내는 기술이다. 전기 에너지의 단기간 투여 시 활성 물질의 파괴 없이 세포벽만 선택적인 파괴가 가능해 목적하는 활성 물질의 생산성 증대 및 기타 유용 활성의 증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 초고압 추출에 비하여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수율과 생리활성 물질을 많이 내는 것으로 알려진 40~60kHz의 저에너지 초음파 추출과 비교했을 때 역시 비용과 시간 면에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당귀 등의 천연물은 종래 통상적인 추출 기술에 비해 천연물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높은 수율을 가진다. 당귀, 고전압 펄스 전기장 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초고압추출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병행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초고압 추출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100,000psi 이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고압을 이용한 추출이 가진 위험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용매도 제한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초고압추출에 선행하여 40~60kHz의 저에너지 초음파로 30~60분간 전처리함으로써 종래 초고압추출에 비하여 효율이 증진된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초고압추출에 비하여 낮은 압력인 4,000~6,000atm에서 진행되어, 보다 낮은 압력 및 온도 조건에서보다 높은 수율을 가지는 추출방법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다양한 용매의 사용이 가능하며,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인, 초고압추출을 시행하는데 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초음파 병행을 통한 효율적 초고압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종래 통상적인 초고압추출의 추출물에 비해 작물의 유용 생리활성 물질에 대하여 높은 수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eansing composition by alginate nano granul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s provided to obtain an active substance without damage.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sing composition by alginate nano granul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comprises: a step of pulverizing Angelica gigas nakai; a step of extracting pulverized Angelica gigas nakai in 10 times volume of distilled water at 60°C for 24 hours; a step of filtering/concentrating the hot water extract and freeze-drying to obtain powder; a step of dissolving the powder in 1mg/ml of distilled water; a step of dissolving alginate in distilled water and evaporating distilled water to form multilayer; a step of adding liquid phase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sample and homogenizing by sonication.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10월부터 3월까지는 가공하지 않은 생굴의 형태로 고가에 주로 유통은 있으나 이후 산란기에 해당하는 4월부터 7월 사이에는 동결 굴, 건조 굴 및 통조림용 자숙 굴 등의 형태로 재조되어 국외로 수출되고 있고 일부만 건조 굴 및 기타 저차 가공 천연 조미료 등의 개발에 불과하여 양식산 굴의 소비에 획기적으로 기여하지 못하고 향장 소재로의 활용이 전무하며 또한 이의 연구도 전무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굴을 주재로 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펩타이드 제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굴은 자체 가수분해 효소가 많으며 수분활성도가 높은 식품으로 쉽게 상하는 결점이 있어 유통, 가공 상에 많은 결점을 가지고 있는 식품이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의 마비성 패류독(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발생은 주로 남해안 일원의 폐쇄 내만에서 2월부터 6월 사이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주 양식 대상 품종인 굴의 수확기와 일부 중복됨에 따라 독성 검사를 거쳐야 하는 까다로운 공정을 가지고 있다. 가수분해된 단백질 분해산물은 소화흡수가 용이하며 물에 녹아 조미료 및 향장품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연구에 의하면 펩타이드는 면역조절 작용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동물 또는 인체에 투여 시 시험관내 및 생체내 모두에서 효소에 의해 급속히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나서 흡수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은 기존 식품 재료이므로 독성이 전무하며 최근 펩타이드의 항산 화, 미백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펩타이드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있다.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이다. 멜라닌은 인체의 피부에 존재하며 자외선에 대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아민, 유리기, 금속이온 등과 같은 세포 독성 물질에 대한 제거제로 작용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반면에 체내, 외적인 여러 요인에 의한 멜라닌 생성이 증가되어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 형성 세포에 전달되고 피부 상피층에 축적되어 과색소 침착 현상이 나타나며 이런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인체의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의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멜라닌의 색소침착은 인체의 병리적 무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미용적인 측면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펩타이드를 환경적, 경제적, 시간적으로 최적의 추출할 수 있는 가공공정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식품으로만 이용되던 굴의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다양한 펩타이드들이 탁월한 항산화제능을 갖추고 있어 이의 공급을 통한 세포손상방지효과까지 갖추어 피부노화 억제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손상된 피부 조직의 콜라겐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피부 재생에 있어서도 탁월한 효과를 갖는 향장 소재의 활용도 가능한 공정이 될 것이며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치료학적 조성물, 및 이들 펩타이드 및 조성물의 투여에 의한 인체 및 동물의 치료방법도 제공할 수 있는 폭넓은 활용분야를 갖고 있는 효율적인 펩타이드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미백활성물질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열수 추출 방법과 초음파 추출을 병행하여 참굴 추출물의 미백 활성 물질 용출의 최적화 공정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열수 추출 방법과 저온 복합 추출을 비교하여 참굴 추출물의 향장 미백활성을 비교하였다. 기존의 열수 추출방법은 추출할 때 낮은 추출 효율과 이로 인한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열로 인한 많은 유용성분의 파괴, 단백질의 변이, 성분의 손실, 가용성분 위주의 추출, 열에 대하여 불안정한 것 등의 단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반해 초음파 추출의 병행 방법은 추출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생물 활성율과 식물 성분의 용매 추출동안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용매 내에서 초음파(ultrasound)의 공동(cavitation)효과에 의해 유발된 분자운동이 활성화 에너지로 작용하여 세척이나 반응성 향상, 특정성분의 추출 공정에 도입되어 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즉, 초음파 추출의 병행 방법은 추출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생물 활성율과 굴 성분의 용매 추출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백활성물질의 용출량 증가와 미백활성의 증진을 추구하였다. 굴, 초음파 분쇄기, 단백질, 펩타이드, 미백활성
Abstract:
A method for preparing oyster peptide is provided to secure effects of whitening and skin regeneration without side effects and prevent corrosion of an apparatus due to no need of thermal treatment using ultrasonic wave. A method for preparing oyster peptide using ultrasonic wav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extracting oyster powder with hot water of 40°C, treating the extracts using 90KHZ of an ultrasonic extractor for 10 minutes and pepsin-treating the ultrasonic wave-treated extracts at 37°C for 2 hours to prepare an oyster peptide group; and separating peptide with whitening activity from the oyster peptide group. In the ultrasonic wave step, the extract is repeated by a process of being exposed to ultrasonic wave for 5 seconds and paused for 5 seconds in a double boiler.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당귀의 알지네이트 나노 입자화를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알지네이트로 당귀의 저온열수추출물을 나노입자화하여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열수 추출 공정을 통해 당귀로부터 활성 물질의 파괴 없이 유효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당귀의 알지네이트에 의한 나노 입자화를 통해, 저온 추출로 용출된 유용 생리 활성 물질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피부에 전달되고 잔류될 수 있어, 미백활성 증진을 위한 향장품으로서의 당귀의 가치가 크게 증진된다. 당귀, 나노입자, 클렌징 조성물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병행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인 초고압 추출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적으로 100,000psi 이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고압을 이용한 추출이 가진 위험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용매도 제한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초고압추출에 선행하여 40~60kHz의 저에너지 초음파로 30~60분간 전처리함으로써 종래 초고압추출에 비하여 효율이 증진된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초고압추출에 비하여 낮은 압력인 4,000~6,000atm에서 진행되어, 보다 낮은 압력 및 온도 조건에서보다 높은 수율을 가지는 추출방법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다양한 용매의 사용이 가능하며,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비용면에서도 경제적인, 초고압추출을 시행하는데 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초음파 병행을 통한 효율적 초고압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종래 통상적인 초고압추출의 추출물에 비해 작물의 유용 생리활성 물질에 대하여 높은 수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
Abstract:
본 발명은 마황의 피부 노화억제 활성을 위한 식용소재 나노입자화 방법 및 그 생산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기본적으로 레시틴으로 마황의 저온열수추출물을 나노입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황의 지용성 레시틴 나노 입자화를 통해, 마황 특유의 냄새에 대한 거부감 없이 저온 추출로 용출된 유용 생리 활성 물질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피부에 전달될 수 있어, 미백활성 증진을 위한 향장품으로서의 마황의 가치가 크게 증진된다. 마황, 나노입자, 리포솜, 노화방지
Abstract:
PURPOSE: A preparing method of ephedra sinca nanoparticles for activity of skin aging inhibition for the anti-wrinkle activity is provided to remove the smell of the Ephedrae Herba characteristic and obtain the Ephedrae Herba particle without the break down of the active material of the Ephedrae Herba. CONSTITUTION: An Ephedrae Herba is shattered. The distilled water of drainage is to solvent and the pulverized Ephedrae Herba is hot water extraction performed in 60 degrees for 24 hours the low temperature. After the hot water extract is filtered to a vacuum filtering device and makes with the powder. The powder is warmed with the concentration of 1mg/ml in the distilled water. The chloroform flies and the multilayer of the lecithin are formed by using decompressor.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fficiently extracting Angelica gigas Nakai using high voltage pulse electric field is provided to selectively break down only cell wall without damage to active ingredients and to enhance effective activation. CONSTITUTION: A method for extracting Angelica gigas Nakai using voltage pulse electric field comprises a step of generating 25-50Kv/cm of electric field at 65-80°C for 5 to 20 minutes. A method for extracting Angelica gigas Nakai using the electric field comprises: a step of pulverizing raw or dry domestic Angelica gigas Nakai and extracting in solvent at 60-85°C for 10-12 hours; a step of adding electric force at 65-80°C and 25-50kV/cm for 5-20 minutes twice to three times to disrupt cell wall; and a step of isolating, filtering, and decompressing ex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