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당귀의 알지네이트 나노 입자화를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알지네이트로 당귀의 저온열수추출물을 나노입자화하여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열수 추출 공정을 통해 당귀로부터 활성 물질의 파괴 없이 유효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당귀의 알지네이트에 의한 나노 입자화를 통해, 저온 추출로 용출된 유용 생리 활성 물질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피부에 전달되고 잔류될 수 있어, 미백활성 증진을 위한 향장품으로서의 당귀의 가치가 크게 증진된다. 당귀, 나노입자, 클렌징 조성물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 가능한 수용성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를 이용한 복분자의 면역·항암 활성 증진을 위한 저온 나노입자화 방법 및 그 나노입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식용 가능한 수용성 셀룰로오스로 복분자의 열수 추출물을 저온으로 나노입자화 하여, 복분자의 면역·항암 활성 증진을 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복분자를 적절한 소재를 통해 나노입자화 함으로써 복분자 추출물의 대장 세포 면역 증진 효과를 검증한 최초의 시도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가되는 물질을 4가지 이하로 최소화하여 입자를 제조함으로써 물리 화학적 변성의 리스크를 줄이고 저비용·저에너지 공정을 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파삼(lower grade ginseng, 破蔘)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삼을 대상으로 하여 그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약리적 효과가 우수한 특정 진세노사이드로 변환케 하여 고기능성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저온고압 추출 공정 및 그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파삼을 세척하여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파삼을 증류수를 추출 용매로 하여 60~80℃에서 100~300 atm으로 저온고압 추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고압 기술을 파삼의 추출공정에 적용함을 통해 유효 성분의 용출량을 증대시키고 기존 파삼에 존재하지 않는 고기능성 성분으로의 변환을 유도하여 상품가치가 없고 원료로서 품질이 부적합하여 버려지는 파삼이 식품 소재로서 고부가가치를 갖게 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매자나무 수피로부터 향장 제품의 착향제로 사용 가능한 천연 코니페릴 알코올(Coniferyl alcohol) 성분의 고수율 단리 방법과 그 단리 성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자나무의 수피 부분을 대상으로 열수/초음파 추출 공정과 단계적인 분획 및 물질 분리 공정을 통해 향장 제품의 착향제로서 첨가가 가능한 천연 코니페릴 알코올(Coniferyl alcohol) 성분을 효율적으로 단리하는 데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매자나무, 초음파 추출, 복합 용매 분획법, 코닐페릴 알코올(Conilferyl alcohol), 천연 착향제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king Rubus coreanus Miquel nanoparticles using water soluble cellulose is provided to enhance colon cell immunite and anticancer activity. CONSTITUTION: A method for making Rubus coreanus Miquel nanoparticles for enhancing immunity and anti-cancer activity using hydroxypropyl cellulose comprises: a step of extracting Rubus coreanus Miquel at 60°C for 24 hours and filtering and freeze-drying to prepare powder; a step of dissolving the powder in 1mg/ml of distilled water; a step of mixing with 0.05 wt% of tween 80 on a container on which bottom is coated with hydroxypropyl cellulose; and a step of passing the mixture through a nano disperser at 2 ml/min for 10 minutes.
Abstract:
PURPOSE: A producing method of soymilk containing nature gamma-aminobutyric acid is provided to insert the nature gamma-aminobutyric acid to the soymilk without adding glutamic acid. CONSTITUTION: A producing method of soymilk containing nature gamma-aminobutyric acid(GABA)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oaking soybeans to water, and boiling; crushing the boiled soybeans inside the water to make soymilk; adding a lactic acid bacteria species with the protease-producing ability and the GABA-producing ability to 1/10 of the soymilk, and two-stage fermenting to produce the GABA; filtering the fermented mixture to remove bean-curd dregs; and mixing 9/10 of the soymilk with the filtrate.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eansing composition by alginate nano granul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s provided to obtain an active substance without damage.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cleansing composition by alginate nano granul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comprises: a step of pulverizing Angelica gigas nakai; a step of extracting pulverized Angelica gigas nakai in 10 times volume of distilled water at 60°C for 24 hours; a step of filtering/concentrating the hot water extract and freeze-drying to obtain powder; a step of dissolving the powder in 1mg/ml of distilled water; a step of dissolving alginate in distilled water and evaporating distilled water to form multilayer; a step of adding liquid phase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sample and homogenizing by sonication.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ducing callus of Rhodiola sachalinensis with reduced cytotoxicity is provided to enhance culture productivity and to reduce toxicity of Rhodiola sachalinensis. CONSTITUTION: A method or producing callus of Rhodiola sachalinensis with reduced cytotoxicity comprises: a step of washing seed of Rhodiola sachalinensis with 70% of ethanol and 5% of sodium hypochlorite; a step of inoculating to MS(Murashige and Skoog) basic medium and culturing to obtain a sterilized germinated plant; a step of cutting stems and leaves of the plant; a step of inducing callus in a solid medium containing 0.5mg/L of NAA(Naphthalene acetic acid) and 1 mg/L of BA(Benzyl adenine); a step of adding 30g of sucrose(1L of MS liquid medium) and adjusting by pH 5.7; a step of preparing liquid medium; a step of inoculating the 10g of callus to liquid medium at 25 +/-1°C; and a step of culturing in a rotary culture device at 100rpm.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첨가용 고로쇠 수액 분말의 제조방법과, 그 분말을 함유한 음료 및, 그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로쇠 수액을 분말화함으로써 수액의 저장성과 유통기간 제한이라는 단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수액을 분말화 과정에서 적절한 부가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수액에 함유된 당 성분으로 인해 분말화되기 어려운 난점을 해소하였으며, 결정과당을 첨가함으로써 향미도 및 감미도가 높아진 음료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쇠 수액의 낮은 저장성과 유통기한의 한계를 극복하여 수액의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고, 이를 더덕이나 칡에 혼합함으로써 별도의 인공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도 더덕이나 칡 특유의 향과 쓴맛을 보완하여 더덕이나 칡을, 그 고유의 기능을 발휘하는 음료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bio ethanol in alcohol cultivating medium is provided to economical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bio ethanol based on a simple tool such as a micro tube and a 960deepwell microplate. CONSTITUTION: A method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bio ethanol in alcohol cultivating medium includes the following: ethanol is extracted from an alcohol cultivating medium using tri-n-butylphosphate as an extracting solven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ed ethanol is measured based on a dichromate oxidation method. In the ethanol concentration measuring process using the dichromate oxidation method, the ethanol extract of the alcohol cultivating medium is reacted with dichromate reagent and the color change of the ethanol extract is compared to an ethanol standard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