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이섬유를 이용한 슬리밍(slimming)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식이섬유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대두 펩타이드 및 녹차 데아닌을 보조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체중 및 체지방 감량 효과가 우수한 슬리밍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이섬유 *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 대두 펩타이드 * 녹차 데아닌 * 비만 * 슬리밍 식품 조성물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미용 개선효과를 갖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하수오, 황기, 옥죽, 숙지황, 작약, 당귀, 연자육, 오미자, 산수유, 영지, 백출, 백합, 백복령, 감초를 포함하는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 콜라겐 합성 증진 및 광노화 억제작용 등에 의해 피부노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피부개선효과를 갖는 경구용 미용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미용*한방*생약추출물*피부주름완화*광노화억제*미용식품
Abstract:
본 발명은 아라키돈산 대사물질 또는 그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라키돈산 대사물질인 12(s)-HPETE, 15(s)-HPETE 또는 그 유도체의 투여량을 조절하여 동물에서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방법, 가려움증 억제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및 그 스크리닝한 가려움증 억제 물질의 약효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아라키돈산 대사물질 또는 그 유도체는 가려움증을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유용하며, 이를 바탕으로 가려움증 치료 약을 검색하거나 약효를 평가하여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라키돈산 대사물질, 12(s)-HPETE, 15(s)-HPETE, 가려움증 억제 물질, 가려움증
Abstract: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티오우레아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함유하는 소양성 또는 자극성 피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 상기 화학식 중 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 탄소수 2 내지 5의 알케닐,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콕시, 하이드록시,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메톡시카르보닐 또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낸다.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 티오우레아 유도체, 피부질환, 소양증, 피부자극
Abstract:
본 발명은 엘라직산(Ellagic acid)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발모증진 또는 탈모억제 효능을 갖는 모발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엘라직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함으로써 TGF-β에 의한 모낭에서 각질형성세포의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탈모를 억제하고 발모를 증진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이섬유를 이용한 슬리밍(slimming)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식이섬유인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대두 펩타이드 및 녹차 데아닌을 보조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체중 및 체지방 감량 효과가 우수한 슬리밍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PURPOSE: A screening method of compounds specifically controlling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CPT-1 gene, and a CPT-1 expression enhancer comprising genistein which is screened by the same method are provided, thereby easily screening natural compounds reducing fat of human. CONSTITUTION: The screening method of compounds specifically controlling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CPT-1 gene compris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recombinant plasmid pCPT-1P-luc containing CPT-1 promoter and luciferase; producing a transformant Huh7 cell line(KCLRF-BP-00090) transformed with the recombinant plasmid pCPT-1P-luc; contacting a compound with the transformant Huh7 cell line(KCLRF-BP-00090); quantification of the signal produced by the contact; and comparing the signal amount measured with that of a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 육모 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두피 넓게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수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A)와 친수성 고분자(B)를 결합시켜 제조한 블록공중합체(AB) 형태의 자기회합성(self-assembling)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난용성의 발모 활성 성분인 피나스테라이드를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나노입자는 난용성 또는 불용성의 생리활성 유효성분인 피나스테라이드를 포집시켜 나노 수준의 크기로 캡슐화하여 수분산 상태의 입자로 제조한 것으로, 활성 성분의 모낭 전달 효과 및 흡수율이 뛰어나고, 다양한 외용제 제형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CPT-1 프로모터와 루시퍼라제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상기 플라스미드로 형질전환된 Huh7 세포주 (수탁번호: KCLRF-BP-00090); 상기 세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PT-1 유전자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전사 단계에서 조절하는 화학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검색된 제니스테인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CPT-1 발현 촉진제; 그리고 상기의 스크리닝 방법으로 검색된 제니스테인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산의 베타 산화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2,2-Dimethyl-3-alkylether-4-alkoxy-6-alkyl amino benzopyrane derivatives and PGE2(prostagrandine E2) production inhibitors containing the same compounds as an effective ingredient are provided to treat diseases associated with the activity of PGE2 by suppressing inflammation caused by PGE2. The 2,2-dimethyl-3-alkylether-4-alkoxy-6-alkyl amino benzopyrane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rmula(1) or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re provided, wherein R^1 and R^2 are identical or different, and are each independently C1-C10 linear, branched or cyclic alk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benzyl group or penethyl group; and R^3 is hydrogen, C1-C10 alkyl group, C2-C10 alkenyl group, C2-C10 alkynyl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benzyl group or naphthylmethyl group. The PGE2 production inhibitors contain 2,2-dimethyl-3-alkylether-4-alkoxy-6-alkyl amino benzopyrane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rmula(1) or thei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s effective ingred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