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뇌 훈련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개시된다. 뇌 훈련 시뮬레이터는 훈련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훈련 장치로 훈련 컨텐츠를 전송하는 통신부, 비침습적 뇌 활성화 측정 방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뇌 신호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획득된 뇌 신호의 데이터와 기 설정된 의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뇌 신호의 데이터와 매칭되는 기 설정된 의도 데이터를 사용자의 의도로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의도에 기초하여 훈련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훈련 장치의 동작에 대응되도록 훈련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뇌 활성을 유도하기 위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 및 고속에서 자기 안정영역을 가질 수 있는 1 세그먼트 렉(1SL; One Segment Leg)의 강성 메커니즘과, 2 세그먼트 렉(2SL; Two Segment Leg)의 강성 메커니즘을 복합적으로 갖는 저속 및 고속주행에서 자기 안정 영역을 갖는 3 세그먼트 렉 로봇의 파라미터 설계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저속 및 고속에 이르기 까지 자기 안정 영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저속 및 고속 주행에서 에너지 효율적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특히,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족압 센서, 카메라,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족압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발에 의한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중심 값을 획득하고,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며,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관절들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 관절 각도 정보를 획득하고, 압력 중심 값 및 관절 각도 정보를 자세 정보 획득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나타내는 사용자 자세 정보를 획득하며, 사용자 자세 정보를 자세 평가 모델에 입력하여 사용자의 자세에 대한 자세 평가 정보를 획득하고, 자세 평가 정보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에 착용하여 악력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에어튜브(14)의 일부를 장갑으로 감싸는 파지수단(10); 상기 에어튜브(14) 상에 공기를 공급하여 설정된 공기압을 유지하는 공압수단(20); 상기 파지수단(10)에 작용하는 악력의 변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30); 및 상기 검출수단(30)의 신호에 대응하여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손의 방향 구분없이 편안한 파지 상태를 유지하면서 운동력 변화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고, 재활 운동에 따른 작동 상태를 스마트 기기를 통하여 볼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이용하여 특정 게임 등의 컨텐츠를 활용하여 재활 운동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연결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연결지지대 일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부, 일측이 연결축부에 연결 결합되며, 타측에는 재활대상자의 상지 부분을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상지연결대가 장착된 링크부, 연결지지대 일측에 설치된 상태로 연결축부와 연결되어, 연결축부가 회전되게 하는 능동구동기,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되며, 연결축부의 축회전에 대한 저항토크를 발생시키는 수동구동기를 포함하는 상지 재활 로봇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지 재활 로봇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연결지지대에 연결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링크부의 일측을 연결축부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링크부 타측에 재활대상자의 상지를 배치한 후,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링크부를 재활대상자가 운동 궤적을 따라 움직일 때, 링크부를 수평, 경사, 수직 중 어느 하나의 위치상태로 변경함에 따라 수평운동, 경사운동, 수직운동을 수행함과 더불어 능동구동기와 수동구동기의 동작여부에 따라 재활대상자의 능동운동, 수동운동, 저항운동 등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