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10)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00)에는 상기 구동부(100)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작동피스톤(200)이 연결된다. 상기 작동피스톤(200)에는 중량물(M)이 고정된 상태로 종동피스톤(300)이 연결된다. 상기 종동피스톤(300)은 상기 작동피스톤(200)의 직선운동에 의해 연동하면서 상기 중량물(M)을 직선운동시킨다. 상기 작동피스톤(200)과 종동피스톤(300)은 연동부재(6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동부재(600)는 상기 작동피스톤(200)과 종동피스톤(300)을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부(100)와 작동피스톤(200)은 동력전달부재(8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800)는 상기 구동부(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가 신축하면서 상기 작동피스톤을 직선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신체착용식 상지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등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유닛, 사용자의 상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지굴신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으로부터 상기 지지유닛을 경유하여 상기 상지굴신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따라 상기 상지굴신유닛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상지를 굴신시키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Abstract:
햅틱 인터랙션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가상환경에서의 햅틱 인터랙션 포인트의 침투 깊이와 상기 침투 깊이에 상응하는 피드백 힘과 관련된 목표강도가 지정되면, 햅틱 인터랙션 포인트가 가상환경 안쪽으로 침투하는 경우 발생할 피드백 힘을 설정하는 설정부, 설정된 피드백 힘에 따라, 햅틱 인터랙션 포인트가 프레싱 경로를 따라 가상환경 안쪽으로 침투하고 릴리싱 경로를 따라 침투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의 사이클이 종료되는 경우, 사이클에서의 강도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사이클에서 확인된 강도와 목표강도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사이클과 이웃한 다음 사이클에서의 피드백 힘과 관련된 피드포워드 힘의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 강도(stiffness)의 가상환경과의 햅틱 인터랙션이 구현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링을 꼬거나 풀어 스트링 유닛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타측에 중량물이 연결되는 스트링 부재를 포함하는 스트링 유닛과, 상기 스트링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스트링 부재를 꼬거나 풀어 상기 스트링 유닛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과, 상기 스트링 유닛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링 유닛과의 길이 차에 의해 상기 중량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 유닛 또는 상기 줄량물과 상기 구동 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링 부재가 풀어지는 경우 상기 중량물을 복원시키는 복원 유닛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이 개시된다.
Abstract:
촉각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촉각 발생 장치는 자기장에 따라 형상이 변화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어 형상 변화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촉각을 느끼게 하는 자기유변유체 및 상기 자기유변유체에 둘러싸이도록 구비되어 자체의 자기장에 의해 상기 자기유변유체의 변화량을 증가시키며 외부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제 1 자석을 포함하는 촉각발생부, 상기 촉각발생부의 주변에 선택적으로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 형성부, 상기 촉각발생부가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가 가상 객체의 표면에 도달하면 상기 자기장 형성부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외골격형 글로브는, 장갑 형태의 외피, 상기 외피 상의 인체의 손가락 관절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연장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제어하여 인체의 손가락 관절이 움직이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인체의 손등 측에 구비된 구동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의 하부에 구비된 완충재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의 외골격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 상기 프레임들 간을 연결하는 스트링,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링의 일단과 연결되는 풀리, 및 상기 스트링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스트링을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풀리는 상기 모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트링을 회전시키는, 모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시간영역 수동성 기법을 이용하여 시간 지연에서의 안정적인 원격제어를 보장하는 양방향 제어기에 따르면, 안정성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프레임워크를 세부적으로 추가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위치-힘(Position-force) 양방향 제어기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간영역 수동성 기법을 이용하여 시간 지연에서의 안정적인 원격제어를 보장하는 양방향 제어기는, 가상 질량과 가상 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상 수동성 시스템을 사용하여 높은 주파수의 힘 요소를 필터링함으로써, 갑작스러운 힘의 변화를 방지하여 원격제어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