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발명은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있는엔테로코커스페시움및 이를이용하여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키는방법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방법에의할경우은행외과피의주요혐오취성분인부티르산및 헥산산의함량을감소시키고, 그결과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 있으며, 또한혐오취가저감된은행외과피발효물을제조할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SAM을 대량 생산하는 신규한 젓갈 유래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SAM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젓갈 유래 엔테로코쿠스속 미생물은 SAM을 대량 생산하는 성질을 가지며, 생산된 SAM은 다양한 기능 및 활성이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한 SAM은 이를 함유한 다양한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salt Kimchi preparing method for prevention of diabetes and hypertension or for hypertensive and diabetic patients. By using various food ingredients in main and sub ingredients of the low-salt Kimchi, it is possible to improve a physiological function of patients having metabolic disorders, typically diabetic or hypertensive patients. In addition, because a composition of the Kimchi is low-sa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dult diseases, control heterofermentation of Kimchi, and increase a savory taste of Kimchi.
Abstract:
본발명은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있는락토바실러스사케이및 이를이용하여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키는방법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방법에의할경우은행외과피의주요혐오취성분인부티르산및 헥산산의함량을감소시키고, 그결과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 있으며, 또한혐오취가저감된은행외과피발효물을제조할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the stink of an epicarp of gingko and fermented chili pepper paste food using the same. The provided method for reducing the stink of an epicarp of gingko includes the steps of manufacturing a gingko epicarp chili pepper paste by mixing an epicarp of gingko with chili pepper paste; and fermenting the gingko epicarp chili pepper paste.
Abstract:
본발명은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있는사카로마이세스세레비지애및 이를이용하여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키는방법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방법에의할경우은행외과피의주요혐오취성분인부티르산및 헥산산의함량을감소시키고, 그결과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 있으며, 또한혐오취가저감된은행외과피발효물을제조할수 있다.
Abstract:
본발명은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있는사카로마이세스세레비지애및 이를이용하여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키는방법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방법에의할경우은행외과피의주요혐오취성분인부티르산및 헥산산의함량을감소시키고, 그결과은행외과피의혐오취를저감시킬수 있으며, 또한혐오취가저감된은행외과피발효물을제조할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SAM을 대량 생산하는 신규한 청국장 유래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하여 SAM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 청국장 유래 바실러스속 미생물은 SAM을 대량 생산하는 성질을 가지며, 생산된 SAM은 다양한 기능 및 활성이 있다. 따라서, 대량 생산한 SAM은 이를 함유한 다양한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