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저항형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저항형 메모리 장치에 의하면, 메모리 셀을 다층으로 배치하여 고집적화에 유리하다. 또한, 인접한 층의 서로 평행한 도전라인들이 서로 수직적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여, 프로그램/소거와 같은 동작시 발생되는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층 저항형 메모리 장치
Abstract:
PURPOSE: A separating apparatus using self-assembling material-based graphene nanostructure as a separating part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reducibility of components and to be integrated with microfluidic channels and electric components. CONSTITU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separating apparatus using self-assembling material-based graphene nanostructure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protective layer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a substrate(201); parts of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are exposed by patterning the protective layers; the protective layers on the exposed parts of the substrate are etched; graphene nanostructure with columnar pores is transferr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and a nanostructure etching mask layer is removed from the graphene nanostructure.
Abstract:
PURPOSE: A resistive memory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ecure a plurality of conductive states according to external voltages by including an uniform conductive polymer-based mixture as a resistance change film. CONSTITUTION: An upper electrode(11a) is formed by patterning an upper electrode film. The upper electrode is capable of crossing a lower electrode(5). An oxide film(13)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a resistance change film(9).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is capable of being changed according to voltages applied to a resistive memory device. The electric resistance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oxide film.
Abstract:
Provided is a resistance variable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a trap-controlled Space Charge Limited Current (SCLC),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memory device includes a bottom electrode; an inter-electrode dielectric thin film diffusion prevention film formed on the bottom electrode; a dielectric thin film formed on the inter-electrode dielectric thin film diffusion prevention film and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with different charge trap densities; and a top electrode formed on the dielectric thin film.
Abstract:
An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is provided to vary a distance between nano particles by using a charge storage medium as a nano particle with a uniform size distribution. An organic semiconductor layer includes a first electrode(210), an electron channel layer(230)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250) formed on the electron channel layer. The electron channel layer is composed of a lower organic material layer(231)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a nano particle layer(233), and an upper organic material layer(235) formed on the nano particle layer. The nano particle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organic material layer, nano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uch that the nano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electron channel layer can maintain a high conductive state and a low conductive state when a voltage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Abstract:
유기 메모리 소자 및 제조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이안정성(electrical bistability)을 가지는 유기물 메모리 소자를 금속 전극들 사이에 일정한 크기 분포를 가지는 나노입자들이 분산된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전자 채널층을 도입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자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자 채널층의 전자 구조가 급격하게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른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메모리 특성으로 이용하는 소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제작 공정을 활용하여 고집적화가 가능한 유기물 소자를 제시하고, 임계전압 특성과 소자 측소화에 따른 소자간의 불균일성을 개선한 유기 메모리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유기물 메모리, 고분자 메모리, 전기 전도도, 2극형 교차 구조, 나노입자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광과 기록매체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새로운 읽기/쓰기 방식의 정보기록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고집적 고속 정보기록판독장치는, 기록매체 표면과 인접하여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상기 기록매체의 국소부에 인접한 탐침; 상기 기록매체의 읽기 또는 쓰기 동작시 상기 기록매체의 국소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전자기파를 조사하는 조사장치; 상기 기록매체의 쓰기 동작시 쓰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쓰기에너지 생성장치; 상기 슬라이더에 장착되고 상기 쓰기에너지를 상기 기록매체의 국소부에 전달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국소부를 물리적으로 변화시켜서 쓰기 작용을 하는 쓰기에너지 전달물체; 및 상기 기록매체의 읽기 동작시 상기 탐침을 통해 상기 기록매체의 국소부에서 출력되는 전자기파의 물리적인 변화를 검출하여 읽기 작용을 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Abstract:
나노 미터 크기의 분자 스위치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자 스위치 소자는 전자가 흐를 수 있는 전자 채널을 구성하는 채널부와, 상기 채널부의 양단에 접촉된 전극과, 상기 채널부와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전극을 통합 전압 인가에 따라 산화 상태 또는 전자 밀도가 달라져서 채널부의 전기 전도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분자 스위치 소자는 고속 동작이 가능하고, 분자 소자 제작 공정을 활용할 경우 고집적화가 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조립 단분자막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기조립 단분자막으로 이루어진 채널층을 소오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형성하면서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접하지 않는 자기조립 단분자막의 모든 부분이 절연막을 통해 게이트 전극과 중첩되도록 하거나, 채널층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의 방향을 평행하게 만듦으로써, 게이트 전압의 증감에 따른 소오스-드레인 전류의 변화율을 증가시켜 전류 변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조립 단분자막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Abstract:
나노갭을 용이하고 재현성있게 제조하는 분자전자소자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판 상에 제1, 제2 및 제3 반도체층을 순차 적층한 다음, 제2 반도체층의 측면을 식각함으로써 제1 반도체층과 제3 반도체층 사이에 나노갭을 형성한다. 나노갭이 형성된 결과물 표면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 기판에 수직하게 절개하여 결과물의 상부와 하부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고, 나노갭 부근의 단락된 두 금속막 상에 분자전자 소재를 도포하여 분자전자소자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노 리소그래피를 사용하지 않고서 분자전자소자를 제조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없이 재현성이 뛰어나고 측정이 용이한 분자전자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