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조밀하지 않은 비정렬 3차원 측정점들을 이용한 3차원 메쉬 생성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조밀하지 않은 비정렬 3차원 측정점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초기 영상에서 추출한 2차원 대응점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메쉬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영상에서 추출한 텍스처(영상의 컬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생성한 초기 메쉬의 비정상적인 면을 제거한 후, 나머지 영상들과 순차적으로 제한적 딜로니 삼각 분할을 수행하여 최종 메쉬를 생성함으로써,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메쉬 모델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수작업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조밀하지 않은 비정렬 3차원 측정점들을 이용한 3차원 메쉬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조밀하지 않은 비정렬 3차원 측정점들을 이용한 3차원 메쉬 생성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조밀하지 않은 비정렬 3차원 측정점, 다수의 2차원 대응점 정보 및 영상들을 입력받는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입력받은 2차원 대응점 정보를 이용하여 초기 메쉬를 생성하는 초기 메쉬 생성 단계; 상기 생성한 초기 메쉬에서 비정상적인 면을 제거하는 비정상적인 면 제거 단계; 상기 입력받은 2차원 대응점 정보 중에서 이용하지 않은 2차원 대응점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2차원 대응 점 정보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잔여 2차원 대응점 정보가 존재함에 따라 제한적 딜로니 삼각 분할을 수행하여 상기 초기 메쉬를 재구성하는 초기 메쉬 재구성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잔여 2차원 대응점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에 따라 최종 메쉬를 생성하는 최종 메쉬 생성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3차원 메쉬 모델 생성 등에 이용됨. 3차원 메쉬 생성, 3차원 측정점, 2차원 대응점 정보, 딜로니 삼각 분할, 제한적 딜로니 삼각 분할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네트워크 가상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패킷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기 위한 서버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대규모 사용자가 참여하는 네트워크 가상환경에서 관심영역 내의 클라이언트에게 타이머를 이용하여 패킷을 통합하고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네트워크 가상환경, 패킷 전송, 패킷 통합, 관심영역, 대규모 사용자 온라인 게임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실존 물체의 원본 이미지(또는 영상)들로부터 그 물체의 표현 특성을 획득하고, 그 특성을 이용하여 그 물체에 대한 사실적인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에 있어서, 원본 실사 영상 획득에 이용될 장치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장치 특성 추출수단; 상기 이미지 센싱 장치 특성 추출수단을 통해 특성이 구해진 장치를 이용하여 실존 물체의 원본 실사 영상을 획득하고, 그 영상으로부터 물체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물체 특성 추출수단; 및 상기 물체 특성 추출수단을 통해 추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상황에 맞게 정확히 해석하여 사실적인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이미지 재현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주로 디지털 콘텐츠 생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예로써 문화재의 재현, 모델 하우스 재현, 영화 및 광고상의 실존 물체 재현 등에 이용됨. 양방향 반사율 분포 함수(BRDF), 분광정보(spectral information), 텍스쳐 맵핑(texture mapping), 실사 영상(photographic image), 사실적인 영상(photorealistic imag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디지털 캐릭터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동작 데이터(Motion Capture Data)로부터 추출한 키 자세(Key Posture) 및 상기 추출한 키 자세(Key Posture) 간의 연결 관계를 저장하고 있다가, 외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한 키 자세 및 키 자세 간의 연결 관계를 이용하여 다수의 캐릭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캐릭터의 경로 및 동작을 환경과 특성에 맞게 제어함으로써, 다양하고 사실적인 애니메이션, 특히 다양하고 사실적인 군중장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캐릭터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디지털 캐릭터 생성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동작 데이터로부터 키 자세(Key Posture)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추출한 키 자세 간의 연결 관계를 계산하여 저장하고 있는 자세 저장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기 위한 캐릭터 생성 수단; 상기 캐릭터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캐릭터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하여 그에 따른 행동 양식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수단; 상기 시뮬레이션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행동 양식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자세 저장 수단으 로부터 상응하는 자세를 검색하여 변형한 후 캐릭터를 화면의 해당 위치에 위치시켜 키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키 프레임 생성 수단; 및 상기 키 프레임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키 프레임을 보간하여 모션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모션 파일 생성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3차원 게임, 애니메이션 등에 이용됨. 군중장면, 디지털 캐릭터 생성, 키 자세(Key Posture), 보간, 충돌 회피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실험 영상에 대하여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 및 분석을 통해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에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실제 영상에 적용하여 사실감 예측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실험 영상에 대하여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을 수행하고 그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예측모델 생성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실험 영상에 대하여 상기 예측모델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영상 사실감을 예측하고 그 예측결과를 관찰자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예측모델 검증 수단; 및 실제 평가 영상(실제 영상물)에 대하여 상기 예측모델 검증 수단에서 검증한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사실감 예측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사실감 예측모델 적용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디지털 애니메이션, 디지털 영화, 디지털 방송, 광고, 또는 출판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분야 등에 이용됨. 영상 사실감 예측,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 사실감 예측모델, 생성, 검증, 적용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에 핑거프린팅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적으로 콘텐츠를 재분배한 구매자를 추적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배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생성서버와, 상기 콘텐츠 생성서버에서 생성된 디지털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 요청한 클라이언트에게 배포하고 구매자 정보를 클리어링 하우스로 전송하는 콘텐츠 배포서버와, 상기 콘텐츠 배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구매자 정보를 핑거프린팅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에 라이센스와 핑거프린팅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핑거프린팅 코드를 전송하는 클리어링 하우스와, 상기 클리어링 하우스로부터 전송받은 구매자 정보로부터 핑거프린팅 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클리어링 하우스로 전송하는 핑거프린팅 관리서버 및 상기 콘텐 츠 배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암호화된 디지털 콘텐츠를 상기 클리어링 하우스로부터 전송받은 라이센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핑거프린팅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핑거프린팅 코드를 삽입하여 재생하는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디지털 핑거프린팅, 불법 복제 추적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진화론적 계산을 이용한 3차원 애니메이션 시스템은 비트 개수가 m개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전자를 입력받아 진화론적으로 변형시킨 비트수가 k(k=m)개의 변형 유전자 정보를 산출하는 유전자 결정부와, 임의의 모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변형 유전자 정보를 토대로 수신된 모션 데이터를 변형시키는 모션 변형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받은 부모 유전자를 진화론적 계산으로 변형하여 변형 유전자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식 캐릭터의 모션을 변형시킴으로써, 애니메이터가 도구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모션을 수정하는 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자를 토대로 변형된 유전자 정보를 생성하여 캐릭터의 모션 변화에 적용시킴으로써, 군중 애니메이션에서 특정 모션을 캐릭터의 특징을 살릴 수 모션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에서 3차원 가상환경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카메라의 방향 설정용 조이스틱이 장착된 휴대 전화기에 적용되며, (a) 상기 카메라 방향 설정용 조이스틱의 움직임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조이스틱의 움직임 방향이 상하좌우의 어느 쪽인지를 각각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카메라의 피치각도의 전후 방향 기울어짐 또는 카메라의 요각도의 좌우 기울어짐을 조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실행 도중에 휴대 전화기의 숫자 키패드의 소정 번호가 눌러졌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숫자 키패드의 소정 번호가 눌러진 경우, 눌러진 번호에 따라 카메라의 전후좌우 이동, 카메라의 좌우 90도 회전 또는 카메라 위치 리셋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impediment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procedure of patient is provided to enable a brain injured patient to learn a medical treatment program with interest for a long time by inputting data using hands and feet of the patient, thereby operating a dynamic entity in a virtual space of a display unit located in the front of the patien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ted data. CONSTITUTION: An input device(20) receives the first data from a user's hand and the second data from the user's foot. An output device(60) displays a predetermined dynamic entity on a display unit(62) of a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The output device(60) displays an operation of the dynamic entity, a program menu for operating the system, and an operating state. A driving unit(14) changes the dynamic entity in the output device(60) by responding to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nputted in the display unit(62). A human computer interface control device(10) controls the output device(60)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14) and includes a program for operating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