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통신사업자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전용의 주파수대역을 확보하지 않고도 무선통신에 의한 열차제어를 가능하게 하되, 역사 등 많은 편성의 열차가 위치하는 구간에서는 무선랜망을 통해 열차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전화통신망과 무선랜망을 결합한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지상설비와 차상에 설치되는 차상설비가 무선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제어영역 안에 있는 열차의 속도와 열차의 진로를 제어하는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상설비는 기지국과 기지국제어기 및 교환기로 이루어지는 이동전화통신시스템, 데이터통신장치와 지상RF모뎀으로 이루어지는 무선랜시스템, 차상으로부터 수신된 다양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열차에 적절한 속도 및 진로 제어에 관련한 명령을 전송하는 지상열차제어시스템, 그리고 통신부하에 따라 상기 지상열차제어시스템과 이동전화통신시스템 또는 지상열차제어시스템과 무선랜시스템의 통신채널을 접속 및 차단하는 지상통신IF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상설비는 상기 지상설비의 기지국과 기지국제어기 및 교환기와 이동전화통신시스템을 이루는 단말국, 상기 지상설비의 데이터통신장치와 지상RF모뎀과 무선랜시스템을 이루는 차상RF모뎀, 상기 차상설비측에서 전송된 열차속도제어명령에 맞추어 열차의 제어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차상설비측으로 전송하는 차상열차제어시스템, 그리고 통신부하에 따라 상기 차상열차제어시스템과 지상열차제어 시스템간의 통신매체를 단말국을 이용한 이동전화통신시스템 또는 차상RF모뎀을 이용한 무선랜시스템으로 접속 및 차단하는 차상통신IF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통신망과 무선랜망을 결합한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 차상설비, 지상설비, 이동전화통신시스템, 무선랜, 무선 LAN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궤도차량의 역 진입 및 진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정차로 운행하는 소형 궤도차량이 본선에서 역에 진입하거나 또는 역에서 본선으로 진출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소형 궤도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소형 궤도차량의 역 진입 및 진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 궤도차량의 역 진입 및 진출을 효율적으로 감시 및 제어함으로써 승객의 차량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노선상의 원활한 차량 관리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소형, 궤도차량, 본선, 역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의 선로 분기 검지 시스템 및 그 분기 검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선로의 분기구간을 열차가 이동시에 선로의 응동신호를 측정하는 다수의 와전류센서들과, 상기 와전류센서들을 통해 감지된 응동신호를 수집하여 열차의 분기방향으로 판정하는 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어, 열차가 분기구간을 이동시에 상기 와전류센서들로부터 응동신호를 감지하여 시간에 따른 와전류센서들의 응동신호 감지 순서를 비교하여 열차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분기하였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에 설치되는 와전류센서를 이용하여 열차의 선로 분기여부를 검지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분기구간 진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차상에서 직접 분기를 검지하는 방식으로 지상설비의 설치가 필요 없어 설치 및 운용 그리고 유지보수 측면에서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열차, 선로, 분기, 와전류센서
Abstract:
An ADU(Aspect Display Unit) for a light trai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LCD(Liquid Crystal Display) is provided to make a driving control board small,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to improve convenience in repairing the defective parts, by making a design simple and compact. In an ADU(10) for a light train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n LCD, a TG(Tacho Generator)(20) is installed at a rotary shaft of a motor to output a two-phase analog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A speed signal frequency multiplier/distributor(30) is connected to the TG to output two independent speed signal channels, two channels for a progressive direction detection signal of the train, and non-insulated speed and direction signals of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level for controlling the ADU. An interface controller(40) transmits the present speed of the train output from the speed signal frequency multiplier/distributor to an LCD display unit(50) and processes various data formats by a multi-channel serial communication port for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through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CMS(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60) and hardwire communication. The LCD display unit displays the speed and operation states of the train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controller as a graphic.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용 직류 급전계통에서 지락사고가 발생하면 각 급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을 근거로 지락사고가 발생한 급전선을 식별하고, 인접변전소와 지락사고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상호 협조하에 해당 급전선을 트립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철도용 직류 급전계통에서의 지락보호계전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철도용 직류 급전계통에서 지락사고가 감지되면 접지스위치를 단락시키는 지락 감지수단; 상기 접지스위치가 단락됨에 따라 형성되는 각 급전선의 전류 변화량을 검측하여 지락사고가 발생한 지락급전선을 식별하는 지락급전선 식별수단; 인접변전소와 지락확인신호를 송수신하면서 해당 지락급전선을 트립 제어하는 지락급전선 트립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락보호계전기, 직류급전계통, 거리계전기, Permissive Signal, Overreach
Abstract:
A pilot ground fault protective relaying scheme in a traction power supply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reliability of the system by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of a ground fault protective relay in advance. In a pilot ground fault protective relaying scheme in a traction power supply system, a ground fault detecting device shorts a ground switch when a ground fault accident is detected in the traction power supply system. A ground fault feeding line discriminating device discriminates a ground fault feeding line on accident by inspecting the amount of current change of each feeding line as the ground switch shorts. A ground fault feeding line trip-controlling device trip-controls the ground fault feeding line while transceiving a ground fault permission signal with an adjacent transformer subs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이동체의 위치 검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무선국과 차량무선국사이의 신호 교환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의 위상차(Phase difference) 정보를 가지고 이동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상차를 이용한 이동체 위치 검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상무선국에서 전송한 신호와 상기 신호를 수신한 차량무선국에서 다시 지상무선국으로 송신한 신호를 지상무선국에서 수신하게 되면, 지상무선국에서 전송한 신호와 수신한 신호는 일정한 위상차를 가지게 되어, 상기 위상차 정보를 가지고 이동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이동체의 위치를 지상무선국에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 추적, 위상차, 지상 무선국, 차량 무선국, 펄스 변조, 위상 비교기, 밀러 적분기, 이동체 위치 검출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의 지락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접지방식의 직류 급전 시스템에서 지락보호계전기의 동작을 위한 지락전류 검출을 위해 정류기의 네가티브 버스를 저항과 전류제한수단을 통하여 접지시킨다. 여기서 전류제한 수단의 특성은 정상운전 시에는 고 저항 특성을 나타내어 누설전류를 기준치 이하로 제한시키고 지락사고시에는 매우 작은 저항 특성을 나타내어 검출에 필요한 충분한 크기의 지락전류를 흐르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락 유무의 판단은 변전소를 기준으로 검출된 지락전류값을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여 수행되며, 지락 구간의 판단은 상기 변전소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방향의 급전선과 귀환선에 흐르는 전류값의 합을 서로 비교하고 인근 변전소로부터 전달되는 지락사고 감지신호 유무에 의해 수행되는 방향차동지락보호계전시스템 및 지락검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향차동지락보호계전기, arrestor, 전식, 지락사고, 전류 제한 수단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차량에 설치되는 유리창을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체의 외형선과 동일한 라인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와 유리창에 일체감을 부여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경량전철 차량의 유리창 취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완성된 차체의 기본 골조중 유리창 장착부위에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된 유리창의 장착부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창의 장착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에 고무재의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에 유리창을 밀착시켜 전체 균형을 조절한 후 탄성접착제를 충진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Abstract:
PURPOSE: A handoff determining method using position of a mobile is provided to accomplish reliabi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controlling handoff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NSTITUTION: If a value of a reception RSS(Received Signal Strength) of a railroad-side system providing a wireless line measured by a mobile becomes smaller than a minimum RSSthresh(dB) required for maintaining communication, the mobile detects failure of the system and requests handover from a different duplex railroad-side system so as to allocate a channel. In a normal state, a network determines the handover, but when such failure occurs, the mobile should determine the hando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