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22131574A1
公开(公告)日:2022-06-23
申请号:PCT/KR2021/016685
申请日:2021-11-16
Applicant: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IPC: A61F5/01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 상단체 체결되는 반원 형상의 제1링부(110)와 제2링부(120)로 이루어지는 링부재(100); 상기 제1링부의 일단에서 제1볼조인트(B1)로 연결되는 제1링크(215)와, 상기 제2링부의 일단에서 제2볼조인트(B2)로 연결되는 제2링크(225)와, 상기 제1 및 제2링크와 제3 및 제3볼조인트(B3,B4)로 연결되는 중간연결부(230)와, 상기 중간연결부와 제5볼조인트(B5)로 연결되는 제3링크(235)로 이루어지는 볼조인트 링크 연결부(200); 상기 제3링크의 하부에 연결되는 스프링 댐퍼부(300); 발의 앞쪽을 감싸는 전방지지부(410)와, 뒷굼치를 감싸면서 상기 스프링 댐퍼부에 연결되는 후방지지부(420)로 이루어지는 발 지지부재(400); 상기 제1링부(110)와 상기 전방지지부(410)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 및 상기 제2링부(120)와 상기 전방지지부(410)를 연결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하지보조기를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WO2019124832A1
公开(公告)日:2019-06-27
申请号:PCT/KR2018/015410
申请日:2018-12-06
Applicant: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IPC: A63B23/08 , A63B21/005
CPC classification number: A63B21/0056 , A63B23/08
Abstract: 본 발명은 발목의 능동 움직임이 진행되는 동안 발목의 각도 변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발목의 움직임에 저항력을 부가하여 발목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목 근육 저항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발목 근육 저항 훈련 장치는, 지지 부재와, 상 제1 움직임 안내축과, 중간 부재와, 제2 움직임 안내축과, 발 받침부와, 제1 저항력 부가부와, 그리고 제2 저항력 부가부를 포함하고, 제1 저항력 부가부는 제1 움직임 안내축에 연동되며 발 받침부에 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제1 움직임 안내축을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능동적인 발목 움직임에 대해 강약 조절이 가능하도록 저항력을 부가하고, 제2 저항력 부가부는 제2 움직임 안내축에 연동되며 발 받침부에 발이 올려진 상태에서 제2 움직임 안내축을 기준으로 한 사용자의 능동적인 발목 움직임에 대해 강약 조절이 가능하도록 저항력을 부가한다.
-
公开(公告)号:WO2022097933A1
公开(公告)日:2022-05-12
申请号:PCT/KR2021/013556
申请日:2021-10-05
Applicant: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Abstract: 본 발명은, 배측굴곡, 저측굴곡, 외전, 내전, 회외, 회내 동작을 제공하는 발목움직임 제공장치(100);와, 발목 배측굴곡근(ankle dorsiflexor)의 대표적인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의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전극패드(P1,P2);와, 발목 외전근(ankle evertor)의 대표적인 장비골근(peroneus longus)의 근위부와 원위부에 각각 부착되는 제3 및 제4전극패드(P3,P4);와,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패드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전기자극 제공부와, 상기 발목움직임 제공장치가, 배측굴곡과 저측굴곡 움직임을 복수 회 반복하는 제1동작과, 외전 및 내전 움직임을 복수 회 반복하는 제2동작과, 회외 및 회내 움직임을 복수 회 반복하는 제3동작을 속도의존적인 강직(spasticity) 발생을 고려하여 적절한 느린 속도(2.14°/sec)로 순차적으로 하도록, 상기 발목움직임 제공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전기자극 제공부가 상기 제1 내지 제4전극패드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극 기반의 발목 근육 재활 훈련 장치를 제공한다.
-
公开(公告)号:WO2018093039A3
公开(公告)日:2018-05-24
申请号:PCT/KR2017/010513
申请日:2017-09-22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IPC: A61H1/02
Abstract: 견관절 추종 장치로서, 피훈련자의 견관절의 수직 방향 움직임과 팔의 무게, 팔에 부착되는 재활 운동 장치의 무게에 대한 중력을 보상하는 중력 보상 스프링, 그리고 견관절 재활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력 보상 스프링과 연결되어 있으며, 피훈련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는 댐핑 저항력을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가하여, 견관절 재활 장치의 모든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는 견관절 추종 장치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18093039A2
公开(公告)日:2018-05-24
申请号:PCT/KR2017/010513
申请日:2017-09-22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IPC: A61H1/02
Abstract: 견관절 추종 장치로서, 피훈련자의 견관절의 수직 방향 움직임과 팔의 무게, 팔에 부착되는 재활 운동 장치의 무게에 대한 중력을 보상하는 중력 보상 스프링, 그리고 견관절 재활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력 보상 스프링과 연결되어 있으며, 피훈련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는 댐핑 저항력을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가하여, 견관절 재활 장치의 모든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는 견관절 추종 장치를 포함한다.
-
-
公开(公告)号:KR101802433B1
公开(公告)日:2017-11-28
申请号:KR1020150156945
申请日:2015-11-09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IPC: A61H1/02
Abstract: 어깨관절추종장치는지면에서수직하게기립되어있으며, 어깨관절추종장치를포함하고있는복수의기구프레임중 어느하나의기구프레임의일측에연결되어있는수직축; 수직축에상하직선운동가능하게결합되는수직방향추종부; 일측은수직방향추종부에결합되어있고, 타측은기구프레임에결합되어있으며, 사용자의상지무게인제1 하중을지탱하여상기제1 하중을보상하는제1 하중지지스프링부; 및일측은수직방향추종부에결합되어있고, 타측은기구프레임에결합되어있으며, 사용자가착용한재활보조장치무게인제2 하중을지탱하여제2 하중을보상하는제2 하중지지스프링부를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1796037B1
公开(公告)日:2017-11-09
申请号:KR1020150158391
申请日:2015-11-11
Applicant: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Abstract: 본발명은컵 홀더와이를포함하는복합모듈을제공한다. 본발명에따른컵 홀더는, 다수의홀을구비하는띠 형상의링 부재; 상기링 부재의일측에위치하는지지부재; 상기링 부재의일단과타단의동일한면이서로접촉된부분에서상기홀을관통하여상기지지부재에결합되는연결핀; 상기연결핀이결합된위치보다높은위치에서상기지지부재에결합되고, 상기지지부재가자유회전하도록설치된회전축을포함한다. 본발명에따른컵 홀더는장착된기구의자세가변하는경우에도링 부재의수평을유지할수 있고, 또한링 부재의크기를용이하게조절할수 있으므로다양한크기의컵에대해범용으로사용할수 있다. 또한본 발명에따른복합모듈은, 컵홀더와다목적홀더를포함함으로써사용자의업무와생활편의를지원할수 있으며, 특히중증장애인의휠체어나침대에설치함으로써장애인의손작업이나활동을용이하게보조할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提供一种杯架以及包括该杯架的复合模块。 根据本发明的杯架包括:具有多个孔的环形环构件; 位于环形构件一侧的支撑构件; 连接销,所述连接销在所述环构件的一端和所述环构件的另一端彼此接触并且联接到所述支撑构件的部分处穿过所述孔; 并且,在比连结销的卡合位置高的位置与支承部件连结的旋转轴,以使支承部件自由旋转的方式设置旋转轴。 按照本发明的杯架能够保持水平,即使当环bujaeui改变所述安装机构的姿势,并且,因为它可以容易地调整环bujaeui尺寸可用于一般用途的用于各种杯尺寸。 此外,根据本发明的复合模块,通过包括一个杯托和多用途持有者可以支持您的工作和生活便利性,特别是可以通过提供轮椅或床严重残疾容易协助sonjakeop和活动残疾人士。
-
公开(公告)号:KR101692215B1
公开(公告)日:2017-01-03
申请号:KR1020150136277
申请日:2015-09-25
Applicant: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Abstract: 본발명은양쪽지팡이를이용한보행보조시스템및 그제어방법에관한것이다. 본발명에따른보행보조시스템은길이조절수단을구비하는제1 지팡이및 제2 지팡이, 제1 지팡이에지면과사용자의손으로부터가해지는힘과제1 지팡이의운동상태를측정하기위한제1 지팡이센서부, 제2 지팡이에지면과사용자의손으로부터가해지는힘과제2 지팡이의운동상태를측정하기위한제2 지팡이센서부, 제1 지팡이및 제2 지팡이를양손에각각쥐고보행하는사용자의보행상태를감지하기위한보행센서부, 그리고제1 지팡이와제2 지팡이의운동상태, 제1 지팡이와제2 지팡이에지면과사용자의손으로부터가해지는힘, 및사용자의보행상태에따라제1 지팡이또는제2 지팡이의길이를조절하는제어부를포함한다. 본발명에의하면, 사용자의보행상태에따라자동으로지팡이의길이가조절되어다음스텝에서안정적으로보행할수 있도록지원할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0160061557A
公开(公告)日:2016-06-01
申请号:KR1020140163750
申请日:2014-11-21
Applicant: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CPC classification number: A61H1/0262 , A61B5/1124 , A61H2201/165 , A61H2201/5007 , A61H2201/5043 , A61H2201/5071 , A61H2205/10 , A61H2230/625 , A63B23/04
Abstract: 본발명의실시예에따른보행재활치료장치는영상투사면상에서보행재활운동을실시하는환자의위치와자세를검출하는모션센서부, 검출된환자의자세를기초로환자의보행재활운동상태를판정하는환자보행재활운동상태판정부, 적어도하나의가상오브젝트가배치되는가상보행재활운동공간내에서검출된환자의위치및 자세에따른환자의가상캐릭터와가상오브젝트의상호작용을처리하고, 상호작용의처리결과에따라갱신된가상보행재활운동공간을 2차원적으로시각화하여재활진행영상을생성하는가상보행재활운동공간제어부및 재활진행영상을영상투사면에투사하는영상투사기를포함할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根据本发明的移动矫正装置包括:运动传感器单元,用于感测在图像投影面上进行步行康复的患者的位置和姿势; 患者行走康复状态确定单元,用于基于感测到的患者姿势来确定患者的步行康复状态; 虚拟行走康复空间控制单元,用于根据患者的位置和姿势来处理虚拟对象和患者的虚拟角色之间的相互作用,所述虚拟对象与虚拟对象在至少一个虚拟对象被布置的虚拟行走康复空间内被检测到 并且通过二维地可视化根据通过处理交互而获得的结果而更新的虚拟行走康复空间来创建康复进度图像; 以及用于将修复进度图像投影到图像投影面上的图像投影仪。 本发明的用于辅助使用投射图像进行动态康复的系统和方法可以允许截瘫患者在虚拟的运动空间上进行诸如步行的步行康复,而不会不协调。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