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2233744B1
公开(公告)日:2021-03-30
申请号:KR1020190049157A
申请日:2019-04-26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IPC: A23L33/105 , A61K36/81 , A61P1/00 , A61P29/00
CPC classification number: A23L33/105 , A61K36/81 , A61P1/00 , A61P29/00 , A23V2002/00 , A23V2200/32 , A23V2200/324 , A23V2300/14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2233749B1
公开(公告)日:2021-03-30
申请号:KR1020190038911A
申请日:2019-04-03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IPC: A23L33/105 , A61K36/185 , A61P1/00
CPC classification number: A23L33/105 , A61K36/185 , A61P1/00 , A23V2002/00 , A23V2200/324 , A23V2250/21 , A23V2300/14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2237450B1
公开(公告)日:2021-04-06
申请号:KR1020190107456A
申请日:2019-08-30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IPC: A23L33/105 , A23L5/00 , A23L5/20 , A61K31/715 , A61K36/9066 , A61P1/00 , A61P29/00
CPC classification number: A23L33/105 , A23L5/23 , A23L5/51 , A61K31/715 , A61K36/9066 , A61P1/00 , A61P29/00 , A23V2002/00 , A23V2200/32 , A23V2200/324
Abstract: 본 발명은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장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강황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황잎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의 균총을 증진시키는 활성이 있으며, 장내 상피세포의 밀착연접 부위에서 밀착연접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증가시켜 장내 상피세포층의 방어벽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벽 밀착연접 완전성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 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프리바이오틱스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장질환 치료제의 소재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4.
公开(公告)号:KR20210026534A
公开(公告)日:2021-03-10
申请号:KR1020190107456A
申请日:2019-08-30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IPC: A23L33/105 , A23L5/00 , A23L5/20 , A61K31/715 , A61K36/9066 , A61P1/00 , A61P29/00
CPC classification number: A23L33/105 , A23L5/23 , A23L5/51 , A61K31/715 , A61K36/9066 , A61P1/00 , A61P29/00 , A23V2002/00 , A23V2200/32 , A23V2200/324
Abstract: 본 발명은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프리바이오틱스 조성물,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장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강황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황잎 추출물은 장내 유익균의 균총을 증진시키는 활성이 있으며, 장내 상피세포의 밀착연접 부위에서 밀착연접 단백질의 발현수준을 증가시켜 장내 상피세포층의 방어벽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장벽 밀착연접 완전성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 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프리바이오틱스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장질환 치료제의 소재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30571B1
公开(公告)日:2021-03-22
申请号:KR1020190033130A
申请日:2019-03-22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IPC: A61K35/744 , A23K10/16 , A23L33/135 , A61K35/747 , A61P25/00 , A61P27/12
CPC classification number: A61K35/744 , A23K10/16 , A23L33/135 , A61K35/747 , A61P25/00 , A61P27/12
Abstract: 본 발명은 비형광성 최종당화산물 억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속 균주, 락토코커스속 균주, 엔테로코커스속 균주, 비피도박테리움속 균주, 바실러스속 균주, 사카로마이에스속 균주, 페디오코커스속 균주 및 루코노스톡속 균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를 포함하는, 비형광성 최종당화산물 억제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형광성 최종당화산물 저감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정장용 조성물, 생균제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발효제품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비형광성 최종당화산물 억제제의 제조방법 및 비형광성 최종당화산물의 억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20210026706A
公开(公告)日:2021-03-10
申请号:KR1020190107885A
申请日:2019-09-02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Abstract: 본 발명은 키틴질이 제어된 식용곤충 유래 식품 단백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식용곤충 유래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A) 식용곤충을 분쇄하여 지방을 탈지시키는 단계; 및 (B) 탈지된 식용곤충 분말로부터 염용성 단백질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식용곤충 단백질을 이용 시 품질특성을 하락시키는 키틴질의 제어를 통해 고품질의 식용곤충 단백질을 수득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22071692A1
公开(公告)日:2022-04-07
申请号:PCT/KR2021/013063
申请日:2021-09-24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IPC: A23L33/105 , A61K36/185 , A61P3/10 , A61P25/00 , A61P13/12 , A61P27/02 , A23K20/00 , A23K10/30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합병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당뇨합병증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식품 조성물,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사료 조성물,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2047031A3
公开(公告)日:2012-04-12
申请号:PCT/KR2011/007392
申请日:2011-10-06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식품이 적재된 컨테이너 또는 팔레트에 부착된 이동 센서태그에 의해 수송 중에 센싱한 환경인자 값 및 상기 환경인자를 센싱한 시간 값과 식품정보를 유통업체서버로부터 전달받는 (a)단계; 상기 이동 센서태그에 저장된 식품정보와 매칭된 고정판매 센서태그에 의해 센싱된 환경인자 값, 상기 환경인자를 센싱한 시간 값 및 식품정보를 유통업체서버로부터 전달받는 (b)단계; 이동 센서태그와 고정판매 센서태그에 의해 센싱된 식품정보, 환경인자 값 및 환경인자를 센싱한 시간 값을 기반으로 현재 식품의 개별 품질분석항목별 품질지수, 종합 품질지수를 측정하는 (c)단계; 상기 측정한 식품의 개별 품질분석항목별 품질지수, 종합 품질지수를 기반으로 식품의 가격을 설정하는 (d)단계; 상기 고정판매 센서태그의 고유ID에 매칭된 다수의 식품에 대응되는 바코드정보 또는 전자태그 정보(식품정보), 상기 식품의 개별 품질분석항목별 품질지수, 종합 품질지수 및 식품의 가격을 상기 유통업체서버로 전달하는 (e)단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18186710A1
公开(公告)日:2018-10-11
申请号:PCT/KR2018/004076
申请日:2018-04-06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IPC: C12N1/20 , A23K10/16 , A23L5/20 , A23L29/00 , A23L33/135 , A61K35/747 , C12R1/225
Abstract: 본 발명은 최종당화산물 저감 활성을 갖는 신규한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신규주인 락토코쿠스 락티스 KF140(수탁번호 KCCM11673P) 균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F11(수탁번호 KCCM11981P) 균주,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KF8(수탁번호 KCCM11997P) 균주 또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KF00816(수탁번호 KCCM11998P) 균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최종당화산물 저감 활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및 최종당화산물로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신균주, 이의 파쇄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장용 조성물, 생균제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및 발효제품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WO2015025998A1
公开(公告)日:2015-02-26
申请号:PCT/KR2013/007741
申请日:2013-08-28
Applicant: 한국식품연구원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A23J3/00 , A23L5/20 , A23L5/25 , A23L15/00 , A23L25/00 , A23L33/00 , A23V2002/00 , C07K14/76 , C07K14/77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원성 식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항원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레르기 유발 식품의 당단백질에 결합된 당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항원성 식품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저항원성 식품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저항원성 당단백질은 항원성이 낮아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매우 낮으며, 동시에 당단백질 고유의 영양가치는 그대로 유지하므로, 고 영양의 식품, 화장료 제조에 효과적이다.
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涉及一种通过所述方法制备低抗原食品和低抗原食品的方法。 更具体地,本发明涉及一种制备低抗原食物的方法,通过该方法制备的低抗原食品及其用途。 该方法包括消除与过敏诱导食物的糖蛋白连接的糖的步骤。 由于本发明的低抗原性糖蛋白具有低抗原性,因此极不可能引起过敏。 同时,由于保持完整的糖蛋白的固有营养价值,本发明的低抗原性糖蛋白可用于制备高营养食品和化妆品。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