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138A - Side sill unit for vehicles
    41.
    发明专利

    公开(公告)号:KR20210026138A

    公开(公告)日:2021-03-10

    申请号:KR1020190106510A

    申请日:2019-08-29

    Inventor: 김도회 유창열

    CPC classification number: B62D21/152 B62D25/025 B60Y2306/09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사이드실 구조를 변경하여 충돌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사이드실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폐단면 구조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이드실 아우터빔의 내측에 마련되고, 내부 공간이 격벽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공간 중 일부의 내면에 인터로크돌출부가 확장되면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스페이스프레임; 및 상기 인터로크돌출부가 형성된 공간 내부에 삽입되고, 단부에 상기 인터로크돌출부와 서로 맞물리는 형상의 인터로크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터로크돌출부와 결합되는 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사이드실 유닛이 소개된다.

    KR102224165B1 - A motor torque control method for improving braking linearity of hybrid vehicles

    公开(公告)号:KR102224165B1

    公开(公告)日:2021-03-05

    申请号:KR1020150090280A

    申请日:2015-06-25

    Inventor: 조우철 신덕근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On), 브레이크 제어기(1)에서 브레이크 뎁스(깊이)에 따른 제동량(A)을 연산하고 분배하는 단계(S1), 차량의 속도를 차속센서의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한 속도값(E)을 비교하는 단계(S2), 상기 차량 속도가 미리 설정한 속도값 보다 큰 경우, 회생제동 허용량을 브레이크 제어기(1)에서 산출하여 차량 제어기(2)로 제공하는 단계(S3), 차량제어기(2)에서는 회생제동 허용량을 브레이크 제어기(1)로부터 전송받아 회생 제동 지령(C)을 모터 제어기(3)로 전송하는 단계(S4), 회생제동 지령에 따른 회생 제동 실행량(D)을 산출하는 단계(S5), 브레이크 제어기에서 상기 단계(S1)에서 산출된 제동량(A)에서 상기 단계(S5)에서 산출된 회생제동 실행량(D)을 감한 값의 마찰 제동 지령을 브레이크 제어기의 제어하에 있는 유압펌프에 전송하는 단계(S6), 상기 단계(S6)에서의 지령에 따라 유압 펌프에 의한 유압에 의해 마찰제동이 인가되게 하는 단계(S7)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브레이크 제어기와 차량 제어기 및 모터 제어기는 브레이크 뎁스에 따른 제동량을 협조제어하에 회생 제동력과 유압 및 모터 제동력들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차속이 감소하여도 브레이크를 밟은 시점의 코스트리젠 토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브레이크 뎁스가 동일한 경우 일정한 감속도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 효과가 있다.

    KR102224159B1 -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trunk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公开(公告)号:KR102224159B1

    公开(公告)日:2021-03-05

    申请号:KR1020150147908A

    申请日:2015-10-23

    CPC classification number: B62D25/087 B60R5/044 B62D25/10 F16H1/166 F16H19/04

    Abstract: 본 발명은 트렁크 턱의 높이를 조절해주어 트렁크에 화물을 적재할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트렁크 리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트렁크 개폐 감지 센서; 트렁크 개폐 감지 센서의 신호로부터 트렁크 리드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트렁크 리드의 개폐 상태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전자 가변식 트렁크 턱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 가변식 트렁크 턱은, 트렁크 개구부의 하부 구조물인 트렁크 턱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상하 이동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차체 패널에 설치되는 트렁크 턱 부재; 및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트렁크 턱 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KR102223457B1 - Device for adjusting cushion frame position of walk-in system

    公开(公告)号:KR102223457B1

    公开(公告)日:2021-03-04

    申请号:KR1020190134283A

    申请日:2019-10-28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N2/20 B60N2/10 B60N2/3011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인 동작시 리어링크아암에 대한 기립 선회방식의 전방변위를 구현함에 있어 리어링크아암의 선회기립각도에 따른 각 스프링의 작용시점과 작용상태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쿠션프레임과 주변 부품들 사이의 충돌에 따른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워크인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자세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워크인 시스템의 쿠션프레임 자세 조절장치는 이동레일에 대해 고정되는 세트브래킷, 세트브래킷과 시트의 백프레임 사이에 양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세트브래킷과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양단부가 힌지결합되는 리어링크아암,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서 리어링크아암과 폴투스를 힌지결합하도록 설치되는 홀드브래킷, 세트브래킷과 쿠션프레임에 대해 양단부가 힌지결합되는 프론트링크아암, 리어링크아암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의 힌지지점에 설치되는 틸팅스프링, 고정레일과 세트브래킷 사이에 설치되는 워크인스프링, 세트브래킷과 프론트링크아암 사이의 힌지지점에 설치되는 다이브스프링, 및 틸팅스프링과 워크인스프링 및 다이브스프링에 대한 탄성력을 리어링크아암의 선회기립각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탄성 조절부를 구비한다.

    KR102238048B1 - Method for electronic controlling suspension device

    公开(公告)号:KR102238048B1

    公开(公告)日:2021-04-09

    申请号:KR1020150151076A

    申请日:2015-10-29

    Inventor: 최성준 김경호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감쇠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제어방법은 휠 수직 가속도 및 차체 수직 가속도를 측정하는 수직 가속도 검출단계; 상기 휠 수직 가속도 및 차체 수직 가속도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휠 가속범위 및 기준 차체 가속범위와 비교하여 차량의 외란 여부를 판단하는 외란 판단단계; 및 상기 외란 판단단계에서 차량의 외란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전자제어 현가장치의 감쇠력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여 전자제어 현가장치가 하드(Hard)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외란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