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의 입력에 따라 인공 의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시선 또는 눈동자 움직임을 이용하여 입력을 받는, 인공 의수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침입자의 얼굴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을 촬영하는 PTZ 카메라, PTZ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침입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침입자 감지부, 침입자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침입자를 추적하도록 하는 침입자 추적부, 침입자 추적부의 제어로 PTZ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서 침임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얼굴 감지부, 얼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침입자의 얼굴을 감시자에 의해 식별할 수 있는 정도인지 판단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침입자의 얼굴을 식별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된 영상을 조합하여 침입자의 얼굴을 감지하는 얼굴 조합 생성부 및 얼굴 감지부 또는 얼굴 조합 생성부에서 감지된 얼굴정보를 감지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영상 전송부를 포함하여, 감시영역에 들어와 벗어날 때까지 침입자의 촬영할 수 있는 모든 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모든 부분을 조합하여 마스크 등과 같은 소품으로 가려진 부분까지 침입자의 얼굴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recognizing a boundary object based on an outline strong against a view point change of an object and a device thereof are provided to strongly operate against a view point change of the object without assuming a view point of the object in advance. CONSTITUTION: A data Input unit(100) receives image data. A category object recognizing unit(200) recognizes a category object among the image data. An output unit(300) outputs a recognition result of the category object recognizing unit. The category object recognizing unit includes an outline detecting unit, a feature extracting unit, a spectrum matching unit, a matching result improving unit, and a matching location predicting unit. The matching location predicting unit predicts a matching location in the image data. The matching location predicting unit recognizes an object in a category.
Abstract:
PURPOSE: A hybrid map writing method of a mobile robot is provided to supply the mixing mapping framework of a mobile robot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a user without the restriction of a sensor such as a distance sensor and a vision sensor. CONSTITUTION: A robot stops and moves the command of a user or a pilot signal. A user node is generated on a topological map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user or a pilot signal of the user. A robot node is generated between user nodes(S101). The robot obtains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orrects a map about the robot node according to the path that a robot moves. A map is completed after acquiring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ath of the robot.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이 기준좌표가 주어진 동작 환경내에서 로봇 스스로 자기의 위치를 추정(estimation)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이동 로봇이 환경내의 개별 물체들을 비전 센서에 의해 인식을 하고, 인식된 물체와 인식된 물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의 3차원) 정보를 주어진 지도(맵)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자기의 위치를 추정(estimation)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레오 영상장치로 형성된 카메라부와, 로봇 이동 경로 주위의 지도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위치 연산부를 포함하는 로봇의 자기 위치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로봇 주위의 영상을 획득하는 1 단계와; 상기 위치 연산부에서 상기 카메라부가 획득한 영상 내의 개별 물체를 인식하고, 개별 물체의 국소 특징점과 개별 물체를 포함하는 주변 환경의 국소 특징점의 카메라 좌표계 위치값을 생성하는 2 단계와; 상기 위치 연산부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도 및 상기 2 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3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의 자기 위치 추정 방법이 제시된다. 스테레오 영상 입력 장치, 파티클 필터링 기법, 위상학적 지도, 로봇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로봇이 기준좌표가 주어진 동작 환경내에서 로봇 스스로 자기의 위치를 추정(estimation)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로봇이 환경내의 개별 물체들을 비전 센서에 의해 인식을 하고 주어진 지도(맵)를 기반으로 센서의 입력을 분석하여 자기의 위치를 추정(estimation)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인식을 바탕으로 한 로봇의 자기위치 추정 방법은 상기 위치 연산부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영상을 입력을 받는 영상 입력 단계와, 상기 위치 연산부가 상기 영상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영상안의 개별 물체들을 인식하고 또한 개별 물체들에 대한 거리 정보를 생성하는 물체인식 및 정보 추출 단계와, 상기 위치 연산부가 상기 물체인식 및 정보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물체 기반의 지도를 바탕으로 파티클 필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로봇 위치 추정단계를 포함한다. 스테레오 영상 입력 장치, 파티클 필터링 기법, 위상학적 지도.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그립 지점을 갖는 작업물 이송용 유연 그립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량의 동일한 반복 작업을 하며 작업 도중 수시로 대상 작업물이 변경되는 기계장치에서 대상 작업물을 파지하기 위해 각 작업 대상물마다 별도의 파지용 어태치먼트가 필요한 작업물 이송용 그립퍼 장치에 있어서, 로봇 또는 프레스의 로더/언로더에 설치되어 파지장치의 각각의 그립퍼가 부착되는 위치가 3차원 공간 상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작업 대상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파지점의 위치를 변경하여 위치를 고정한 후, 지속적으로 반복 작업을 수행하는 파지장치를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물 이송용 유연 그립퍼 장치가 제시된다. 따라서, 다수의 파지점을 가지며 각 지점이 독립적으로 또는 일부 연동되어 3차원 공간에서 그립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작업물 이송용 유연 그립퍼 장치로서 대상 작업물의 변경시 수동조작 또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대상물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그립퍼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서보 모터만을 사용하여 위치 조정대상부재를 종래와 동일한 위치 조정영역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단일의 서보 모터를 이용한 회전 2자유도 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일의 서보 모터를 이용한 회전 2자유도 위치 조정장치는 중공의 하우징,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단일의 서보 모터, 서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는 위치 조정대상부재, 서보 모터와 위치 조정대상부재를 연결하며, 서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위치 조정대상부재를 자전시키는 제 1기어 트레인, 그리고 서보 모터와 위치 조정대상부재를 연결하며, 서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위치 조정대상부재의 자전축을 제 1위치와 제 1위치에 대해 소정각도를 이루는 제 2위치사이에서 선회시키는 제 2기어 트레인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 조정대상부재의 2자유도 회전구동을 위해 2개의 서보 모터가 필수적인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제작비가 저렴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의 측면에서 유리하며, 서보 모터 제어를 위한 제어기와 현 위치의 피드백을 위한 센서 및 전선 등의 개수가 감소되어 운용상의 고장가능성도 감소한다.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with rotary two-degrees of freedom is provid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using a single servo-motor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CONSTITUTION: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with rotary two-degrees of freedom is composed of a hollow housing(10), a single servo-motor(12) installed in the housing, an object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servo-motor and moving to predetermined position, a first gear train connecting the servo-motor with the object and rotating the object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motor, and a second gear train. The second gear train connects the servo-motor with the object, and turns the rotation axis of the object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rvo-mo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