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safety device of an R-MDPS(Rack type Motor Driven Power Steering)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prevent a belt protrusion from being damaged and prevent the handle from being locked by informing an operator about the generation of a slip on a belt transferring driving power of a motor to a rack bar in the R-MDPS system. CONSTITUTION: A safety device of an R-MDPS system comprises a storage unit(10), a motor RPM(Revolution Per Minute) measuring unit(20), a driver torque measuring unit(30), an ECU(Electronic Control Units)(40), and a display unit(50). The storage unit stores a standard table in which a standard RPM is recorded corresponding to a driving torque. The motor RPM measuring unit measures the RPM of a motor in the R-MDPS system. The driver toqu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driver torque generated by rotation of a steering handle due to the operation of a drive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slip generation based on the standard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s a warning light or a warning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Reference numerals] (10) Storage unit; (20) Motor RPM measuring unit; (30) Driver torque measuring unit; (40) Control unit; (50) Display unit;
Abstract:
본 발명은 7속의 변속단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6속 더블클러치 변속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늘어나지 않은 변속기의 전장을 실현함으로써, 변속기의 패키지성능과 차량에의 탑재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변속기의 중량 증가를 최소한에 그치도록 하여, 더블클러치 변속기의 상품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더블클러치, DCT, 7속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스티어링 랙의 스트로크 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 회전 반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운행 시 조향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100)과 접속된 스티어링샤프트(400)의 하단부에 기어박스(200)가 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200)의 끝단에는 타이로드(300)가 결합되어 있는 인너볼조인트소켓(500)의 접촉 유무에 따라 랙(600)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랙스톱퍼(800)가 설치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랙스톱퍼(800)와 인너볼조인트소켓(500) 사이에 1차랙스톱퍼(700)를 설치하고, 상기 1차랙스톱퍼(700)와 랙스톱퍼(800) 사이에는 스프링 또는 고무와 같이 자체 탄성력을 갖고있는 탄성부재(9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스티어링 랙의 스트로크 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 회전 반경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운행 시 조향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랙 스트로크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100)과 접속된 스티어링샤프트(400)의 하단부에 기어박스(200)가 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200)의 끝단에는 타이로드(300)가 결합되어 있는 인너볼조인트소켓(500)의 접촉 유무에 따라 랙(600)의 스트로크를 제한하는 랙스톱퍼(800)가 설치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랙스톱퍼(800)와 인너볼조인트소켓(500) 사이에 1차랙스톱퍼(700)를 설치하고, 상기 1차랙스톱퍼(700)와 랙스톱퍼(800) 사이에는 스프링 또는 고무와 같이 자체 탄성력을 갖고있는 탄성부재(900)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과 연결되어 같이 회전되는 컬럼과, 상기 컬럼의 일측에 장착되는 웜기어와, 상기 윔기어와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윔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력 발생장치와,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향에 따라 상기 회전력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구성되어, 기존의 모터를 제거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모터 사용에 따른 소비전력이 불필요하여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스티어링을 제공한다. 자동차, 파워스티어링, 배기가스, 스티어링휠, 스티어링시스템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랙바 분리형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휠의 상단에 설치된 입력축의 단부에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부가 형성된 랙바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부가 중앙에 형성되는 구동랙바와, 상기 구동랙바의 양단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구동랙바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측 연동랙바로 상기 랙바를 분리형성하고, 상기 입력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피니언기어의 내주면에는 상기 입력축의 축방향 회전력을 상기 피니언기어에 역방향으로 전달하는 연동기어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피니언기어를 통해 랙바측에 집중되는 압축력 및 인장력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차체측으로 전달되어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충격력을 스티어링� �측으로 전달하지 않고 랙바의 연결부에서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한 것이다. 스티어링휠, 피니언기어, 랙바, 연동기어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장애인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버스에 탑승하여 잡을 수 있는 안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인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로 버스에 탑승할 때 간편하게 잡음으로써 안전성을 증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의 사이드 패널(2)에 고정한 브라켓(1)과; 상기 브라켓(1)에 일단을 힌지 결합하고, 하방에는 펼 때 상기 브라켓(1)에 지지되는 수평 유지바(8)를 설치한 손잡이 본체(4)와; 상기 브라켓(1)에 설치하여 손잡이 본체(4)를 접었을 때 접은 상태를 유지하는 스톱퍼(11)로 구성한 것이다. 브라켓, 지지편, 손잡이 본체, U형 바, 수평 유지바, 스톱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