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로봇의 기어 체결, 관절의 구동력 전달 및, 2자유도 구현 메커니즘을 적용한 생체모방형 사족 보행 로봇에 관한 것으로, 보행 로봇의 기어 체결 메커니즘으로 구비되며 제1 관절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 보행 로봇 관절의 구동력 전달 메커니즘으로 구비되며, 제2 관절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가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제2 구동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기어와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2 구동부를 회전시키는 능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평판형 힘/토크 센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힘/토크 센서는 N개(N은 자연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는 N개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가 N개의 센서셀을 이루며, 각 센서셀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에 의해 센서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센서에 가해지는 힘/토크의 크기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output differential gear. The multi-output differential gea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parts: a first output gear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s first output having a rotation speed different from the external power when external resistance is applied; a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equipped with an intermediate gear which is operated by being coupled with the first output gear and generates intermediate output; a second output gear which receives the intermediate output from the first differential gear part and generates second output having a rotation speed different from the intermediate output when external resistance is applied; and a second differential gear part equipped with a third output gear which is coupled with the second output gear and generates third output having a rotation speed different from the second outpu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output differential gear which can generate three kinds of output through three output gears from single power input received from the outside.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형 다축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형 다축센서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 평판형으로서 유전율을 가지며, 상부과 하부에 상기 한 쌍의 전극이 각각 설치되는 탄성 복합체; 상기 한 쌍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 사이의 캐패시턴 값의 변화 및 상기 탄성 복합체의 저항값의 변화를 구분하여 감지함으로써, 측정되는 값의 특성에 따라 상기 탄성 복합체의 상면 또는 하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한 쌍의 전극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한 쌍의 전극만으로 2축의 방향 힘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복합형 다축센서가 제공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용 자동 제어형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용 자동 제어형 감속장치는 구동부와 연동하여 상기 구동부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출력축에 전달하여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차동기어부; 상기 차동기어부와 연결되되, 상기 구동부의 비정상 동작시에 작동함으로써 상기 출력축의 회전력 또는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동기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정상동작시에만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베벨기어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내측기어부;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을 상기 케이싱에 제공하여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회전하는 링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와 무선으로 작동하는 장치와 연결된 구동부의 비정상 동작시에 자중(自重)에 의한 하강 속도를 최소화하여 지면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추락방지용 자동 제어형 감속장치가 제공된다.
Abstract:
PURPOSE: A 6-axial force/torque sensor is provided to arrange a capacity varying unit in both ends of a base and to install the capacity varying units on a pair of protrusion parts, thereby improving measurement accuracy. CONSTITUTION: A 6-axial force/torque sensor(10) comprises a coupling part(110), a housing unit(130), and a capacity varying unit(120). The coupling part is composed of a base(111) and protrusion parts(112). A receiving unit inwardly recessed from a first surface(131) is formed in the housing unit. The receiving unit inwardly recessed from a first face(131) is formed installed in housing.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protrusion parts so that a second face(132) and lateral surfaces of the protrusion parts are faced each other. The housing unit is coupled by a coupling part so that the first face and the base are faced each other. The capacity varying unit includes a first electrode(121), a second electrode(122), and an elastic dielectric(123). The first electrode is arranged on the coupling part. The second electrode is arrang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electrode of the housing unit.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액추에이터와 게이트를 구비한 유체저장공간만으로 구현되어 구조가 단순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유체분사추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폴리머 액추에이터; 상기 폴리머 액추에이터의 일방향 동작에 의해 내부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용적이 수축되거나, 외부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용적이 팽창되는 유체저장공간; 상기 폴리머 액추에이터의 타방향 동작에 의해 상기 유체저장공간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체저장공간의 용적을 팽창시켜 외부 유체가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유체저장공간의 용적을 수축시켜 내부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탄성부; 상기 유체저장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고, 유체가 외부로부터 유체저장공간 내부로 유입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유입게이트; 및 상기 유체저장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시키고, 유체가 유체저장공간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 유출게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곡률 측정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곡률 측정 장치는 측정부의 끝단(fingertip, 이하 핑거팁)이 미지물체와 접촉하여 발생된 힘과 토크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측정값과 곡률 계산을 위해 기설정된 상기 핑거팁의 회전각과 반경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힘과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핑거팁의 위치정보를 연산하고, 곡률 방정식을 통해 상기 미지물체의 곡률을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곡률 측정의 오차를 감소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곡률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