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요레이트 오프셋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 정차 시 및 주행 시의 요레이트에 근거하여 정차 오프셋 및 이동 오프셋을 산출하는 오프셋 산출부, 상기 차량 정차 시에 상기 정차 오프셋에 근거하여 해당 차량의 요레이트 오프셋의 초기 오프셋을 설정하는 오프셋 설정부, 상기 차량 주행 시의 주행속도가 기 설정된 목표구간 범위 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주행속도가 상기 목표구간 범위 내인 경우에 상기 요레이트 오프셋과 해당 위치에서의 기준 요레이트 오프셋을 비교하여 그 차이가 기 설정된 허용범위 내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차량에 설정된 요레이트 오프셋의 보정 여부를 판정하는 오프셋 판정부, 및 상기 요레이트 오프셋의 보정 여부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요레이트 오프셋을 상기 정차 오프셋 또� �� 상기 이동 오프셋으로 보정하는 오프셋 보정부를 포함한다.
Abstract:
PURPOSE: A lane maintenance and control system applying a variable determination criterion is provided to operate in a lane maintenance and control mode even in a curve section by variably setting the determination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lane maintenance control mode and an override mode. CONSTITUTION: A lane maintenance and control system applying a variable determination criterion comprises a steering torque sensor(20), a mode determining part(21) and a control torque controlling part(22). The steering torque sensor measures the steering torque in driving. The mode determining part selects one of an override mode or a lane maintenance and control mode. The mode determining part compares the measured steering torque with either a first determination torque which is an override mode start criterion or a second determination torque which is an override mode end criterion. The control torque controlling part controls the control torque intensit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The second determination torque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variable determination torque variable according to the lane curvature and the vehicle speed to the first determination torque.
Abstract:
A lane keeping assist system is provided to support lane keeping of a vehicle without using measure data in an image sensor, and to improve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a driver and a passenger. A lane keeping assist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an image sensor part(10) measu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curvature of the vehicle based on a measure point; a sensor part(20) measuring a parameter value about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 control part(40) controlling lane keeping based on information; and a compensation part(30) measuring secession distance and a secession angle based on data and delivering a measured value to the control par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ane change control syste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driver not to feel the discomfort of steering and unstable vehicle movement by creating a stable lane change path in consideration of an initial condition of a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is out of the center of a lane while the vehicle changes the lane.
Abstract:
본 문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의 곡률과 차속에 따라 가변하는 가변 판정 기준을 적용하여 차선유지제어 모드와 오버라이드 모드를 판정함으로써 곡선도로 주행에 따라 오버라이드 모드로 전환하였다가도 곡선도로 주행 중에 다시 차선유지제어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차선 유지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러한 차선 제어 유지 시스템에 따르면, 곡선주행 중에도 운전자의 조향 조작을 돕는 제어토크 발생하여 운전자 조향 토크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조향 토크, 오버라이드, 차선유지제어, 가변 판정 토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