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whitened cuttlefish collagen-derived peptide is provided to optimize and simplify complex collagen isolation process and to improve skin absorption of the collagen. CONSTITUTION: A method for preparing whitened cuttlefish collagen-derived peptide comprises: a step of shaking a cuttlefish in sodium hydroxide solution to obtain cuttlefish collagen; a step of whitening collagen by shaking for 12 to 15 hours adding 1% of hydrogen peroxide; and a step of performing sonication of the whitened collage at 20, 60, 90 and 130KHz.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 step of putting 20 weight% of cuttlefish to 3% of hydrogen peroxide and 0.1N sodium hydroxide and shaking for 12 hours to remove non-collagen component, and a step of adding 0.5% of citric acid and vitamin C.
Abstract:
오징어에 함유된 콜라겐은 축산 동물로부터 추출한 콜라겐과는 다른 생물학적 특성을 가짐에 따라 의약품 등 산업용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이들 오징어 콜라겐의 추출에 있어 기존의 산 또는 알칼리 추출방법으로 콜라겐을 추출할 경우 체벽에 존재하는 골편(탄산칼슘)이 용해되어 혼입됨에 따라 콜라겐의 순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오징어 유래 콜라겐을 산업적으로 생산,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가능한 콜라겐 추출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추출만으로는 콜라겐 자체의 큰 분자량으로 인한 피부 투과성 및 생리활성이 저조함에 따라 이의 활용성을 증진할 수 있는 가공 공정의 개발이 절실하다. 펩타이드란 단백질의 분해과정에서 생기는 물질로서 단백질은 체내에서 소화관을 통하는 사이 소화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소장에서 흡수된다. 그러나 모든 단백질이 아미노산까지 분해되지 않고 일부는 아미노산이 여러개 결합된 펩타이드 상태로 흡수된다. 또한 특정 잔기를 갖는 펩타이드들은 체내 티로시나아제에 결합하여 그 활성을 낮춤으로써 미백활성을 나타낸다. 펩타이드는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과정의 중간산물로, 다양한 조합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중합물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분자량 10,000 달톤 이하의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오징어껍질에 존재하는 콜라겐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다양한 주파수의 초음파를 병행하여 복잡한 콜라겐 분리공정의 최적 및 간소화하고 기존의 오징어 콜라겐의 단점인 피부흡수도를 개선하며 새로운 향장 소재로서의 기능을 부가하는 미백 소재 펩타이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징어, 콜라겐, 미백, 초음파, 오징어껍질.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당귀의 알지네이트 나노 입자화를 이용한 클렌징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알지네이트로 당귀의 저온열수추출물을 나노입자화하여 클렌징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열수 추출 공정을 통해 당귀로부터 활성 물질의 파괴 없이 유효 성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당귀의 알지네이트에 의한 나노 입자화를 통해, 저온 추출로 용출된 유용 생리 활성 물질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피부에 전달되고 잔류될 수 있어, 미백활성 증진을 위한 향장품으로서의 당귀의 가치가 크게 증진된다. 당귀, 나노입자, 클렌징 조성물
Abstract:
본 발명은 젤라틴(gelatin)에 포집된 수용성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입자(nano-particles),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수용성 매자나무 추출물의 세포 내 용출 속도를 조정하여 세포 독성(cytotoxicity)을 저감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독성 저감 방법은, 수용성 매자나무 추출물을 신경세포 보호 및 비만·당뇨의 억제제 등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는 경우에 매자나무가 고유하게 가지는 세포 독성을 저감하기 위해 생체 내에서의 방출속도 및 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적은 농도로 높은 생리활성의 발현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나노입자, 매자나무, 비만, 당뇨, 젤라틴, 세포 독성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ducing a nanoparticle containing water-soluble Korean barberry extract is provided to release the extract in a specific rate and control cytotoxicty. CONSTITU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nanoparticle containing water-soluble Korean barberry extract with high density of gelatin comprises: a step of extracting Korean barberry, filtering, concentrating, and drying to obtain powder; a step of dissolving the powder in water-soluble solvent; a step of dissolving 0.05-0.2 weight% of gelatin of the extract using distilled water at 40°C; a step of drying at 20~60°C to obtain liposomes; a step of adding Korean barberry extract to the gelatin of liposome form; and a step of homogenizing at 30~40°C for 50-60 minutes with sonicator.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이용한 당귀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으로, 기존 일반 추출 방법으로는 유효성분을 쉽게 얻지 못한다는 점과, 고온 추출 시 활성 물질을 파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선택한 당귀의 효율적인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추출방법은 65~80℃에서 25㎸/㎝의 전기장을 5~20분간 2~3회 정도 주어 천연물인 당귀로부터 유효 성분을 뽑아내는 기술이다. 전기 에너지의 단기간 투여 시 활성 물질의 파괴 없이 세포벽만 선택적인 파괴가 가능해 목적하는 활성 물질의 생산성 증대 및 기타 유용 활성의 증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종래 초고압 추출에 비하여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수율과 생리활성 물질을 많이 내는 것으로 알려진 40~60kHz의 저에너지 초음파 추출과 비교했을 때 역시 비용과 시간 면에서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추출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당귀 등의 천연물은 종래 통상적인 추출 기술에 비해 천연물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높은 수율을 가진다. 당귀, 고전압 펄스 전기장 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초고압추출
Abstract:
PURPOSE: A culture medium for fermenting ligneous part of Berberis Koreana and a fermentation method are provided to perform fermentation using B. longum B6 and to enhance fermentation efficiency. CONSTITUTION: A culture medium for fermenting ligneous part of Berberis Koreana using B. longum B6 contains isomaltooligosaccharides. The culture medium contains 10g/L of isomalo oligosaccharide, 40 g/L of lactose, 10g/l of peptone, 10 g/L of beef extract, 5 g/L of yeast extract, 7 g/L of sodium acetate, 2 g/L of disodium phosphate, 2 g/L of ammonium citrate, 1 g/L of tween 80, 0.05 g/L of MgSO_4, 0.05 g/L of maleic acid, 0.5 g/L of MnSO_4, and 0.5 g/l of L-cysteine HCl.
Abstract:
본 발명은 유채대, 보릿대, 구멍갈파래로 구성되는 비식용부위군 중에서 어느 하나와 물을 1:10 중량비율로 고압액화추출장치에 넣고 25-30℃에서 500Mpa 부터 1000Mpa까지 매 10분마다 50Mpa 씩 승압시킨후, 1000Mpa에서 30분간 고압 액화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발효용 당화액의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압액화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당화액을 알코올발효시켜 에탄올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탄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채대, 보릿대, 구멍갈파래로부터 알코올발효용 당화액을 고압 액화 추출함으로써 기존의 약산 처리 추출보다 더 효율적으로 추출할수 있게 되어 기존의 바이오 에탄올 생산의 전처리 방법보다 더 경제적이고 고효율인 에탄올 생산을 할 수 있다. 유채대, 보릿대, 구멍갈파래, 고압액화, 당화액, 글루코스, 에탄올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white rice wine containing sap is provided to enhance alcohol degree, preference, and sugar content without additional process.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white rice liquor containing sap comprises: a step of steaming ingredient to prepare ferment; a step of preparing brewing water containing sap; a step of dipping ferment in brewing water and fermenting; and a step of making rice wine. The total brewing water contains 5-15 weight% of sap. The sap is selected from Acer mono sap, Acer okamotoanum sap, Acer truncatum sap, Acer pseudo-sieboldianum var. koreanum sap, Acer palmatum sap, Betula schmidtii sap, Betula daveurica sap, Betula costata sap, and Phyllostachys bambusoides sap.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ducing broccoli nanoparticle, and eatabl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fast reaction after the destruction of tonoplast. CONSTITUTION: A method for producing broccoli nanoparticl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mixing broccoli, and water or ethanol 10 times amount of the broccoli and extracting at 50-60°C for 10-14 hours; irradiating ultrasonic wave of 40~120 kHz at 50-60°C for 0.5-3 hours to obtain broccoli ultrasonic wave extract; concentrating and freeze-drying the broccoli ultrasonic wave extract to obtain broccoli powder; dissolving the broccoli powder in purified water or water-soluble solvent to prepare a water-soluble broccoli extract; dissolving eatable oil phase selected among lecithin, gelatin, and chitosan in CH2Cl2 or chloroform solvent; evaporating the whole solvent to obtain liposome-like oil phase; pouring the water-soluble broccoli extract over the dried liposome-like oil phase; and dispersing the mixture in an ultrasonic disperser at 30-40°C for 50-60 minu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