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20060004321A
公开(公告)日:2006-01-12
申请号:KR1020040053400
申请日:2004-07-09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PC: B61L25/02
CPC classification number: B61L25/02 , B61L1/02 , B61L15/0027 , B61L27/0005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노선으로 움직이는 열차라는 이동체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신뢰성을 갖는 무선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점 유무에 따라 선로상에서 열차가 이동할 때 지상무선국(WAYSIDE RADIO STATION)에서 차량무선국(VEHICLE RADIO STATION)의 위치를 추정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1 차원에서 물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상차를 이용한 선로상의 열차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의 주파수의 사인신호를 신호발생기의 기준신호로 가지고 있고, 송신부에서는 이 사인신호를 변조부를 통해 FM방식으로 변조하여 채널1의 반송파에 실어서 차량무선국(VRS)의 수신부로 보내어지고, 수신부에서는 차량무선국(VRS)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며, 이렇게 수신된 신호는 비교기에서 기준신호와 위상을 비교함으로 이동체의 위치에 따라 위상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지상무선국(WRS1 - WRS3); 그리고 수신부에서는 지상무선국(WRS1 - WRS3)의 송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복조부를 통해 FM방식으로 복조하고, 반송파에서 신호를 분리하며, 복조한 이 신호는 변조부를 통해 변조하여 송신부에서 채널2의 반송파에 실어서 지상무선국(WRS1 - WRS3)의 수신부로 보내는 차량무선국(VRS)을 구비하여; 영역1(Z1)에서 지상무선국(WRS1)과 차량무선국(VRS)은 채널CH1과 CH2를 사용하여 열차의 위상정보를 얻으며, 영역2(Z2)에서의 지상무선국(WRS2)과 차량무선국(VRS)은 CH3와 CH4를 이용하고, 영역3(Z3)에서의 지상무선국(WRS3)과 차량무선국(VRS)은 채 널CH1과 CH2를 이용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위상차, 열차추적알고리즘, 열차추적시스템, 지상무선국, 차량무선국, 위상추적-
公开(公告)号:KR100511446B1
公开(公告)日:2005-08-30
申请号:KR1020030084612
申请日:2003-11-26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PC: B61D17/00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를 따라 주행하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를 개량하여 전면유리창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차량 운행시의 주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두부를 구성하는 마스크의 제작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량전철의 전두부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전면유리창과, 상기 전면유리창의 가장자리 양측에 위치하여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보조창과, 상기 보조창의 양측에 배치되어 삼각형태를 이루는 측면유리창을 가지는 일체형의 마스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마스크는 그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향해 3차원 곡면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
公开(公告)号:KR101271445B1
公开(公告)日:2013-06-05
申请号:KR1020110135682
申请日:2011-12-15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bstract: PURPOSE: An electric railroad vehicle current collector contact force measurement sensor is provided to improve current collection efficiency by accurately measuring a contact force applying to an overhead line and a lower part of a panhead. CONSTITUTION: A panhead moving unit(212) is installed in the top of a pantograph(100). A fixing unit(310) is installed in a frame of the pantograph. An engagement unit is engaged with the panhead moving unit. A body is installed in a frame of the pantograph. A cap engages with a lower part of the body.
Abstract translation: 目的:提供一种电动铁路车辆集电器接触力测量传感器,通过精确测量施加在平顶头的架空线和下部的接触力来提高电流收集效率。 构成:平移头移动单元(212)安装在缩放仪(100)的顶部。 固定单元(310)安装在缩放仪的框架中。 接合单元与平移头移动单元接合。 身体安装在受电弓的框架内。 帽子与身体的下部接合。
-
公开(公告)号:KR100999652B1
公开(公告)日:2010-12-08
申请号:KR1020080118040
申请日:2008-11-26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 요철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차륜형 경전철의 주행궤도를 따라 이동하면서, 주행노면과 안내레일 상의 요철을 측정하기 위한 노면 요철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면 요철 측정장치는, 고무차륜형 경전철 노면 요철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로서, 상기 경전철의 주행노면과 안내레일 상의 요철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경전철의 주행노면 상에서 주행하는 제1차륜; 상기 경전철의 안내레일과 접하면서 주행하는 제2차륜; 상기 제1차륜이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차륜이 측부에 결합되는 차륜결합암; 및 상기 차륜결합암의 상부에 축설되며, 상기 센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센서설치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면 요철 측정장치는 센서의 센싱 위치 및 센싱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측정하고자 하는 주행노면 또는 안내레일의 요철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무차륜, 경전철, 센서-
公开(公告)号:KR100694512B1
公开(公告)日:2007-03-13
申请号:KR1020040111790
申请日:2004-12-24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PC: B61L25/02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인 열차의 위치결정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상무선국에서의 열차 위치결정오차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가 지상무선국의 신호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기준신호와 차상무선국이 상기 기준신호에 대응하여 송신하는 신호를 지상무선국 수신기가 수신하는 위상정보신호로부터 각각 샘플링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신호와 위상정보신호의 샘플링 신호에서 각각 부호가 바뀌는 샘플을 찾는 단계, 부호가 바뀌는 샘플에서 크기가 제로인 f(t)=0을 계산하는 단계, f(t)=0인 t의 기준신호의 시간(t
a )과 f(t)=0인 t의 위상정보신호의 시간(t
b )을 이용해서 시간차(t
b -t
a )를 구하는 단계, 지상무선국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간차에 대한 차상무선국의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 탐색된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임.
위상차, 열차추적, 위치추적, 지상무선국, 차상무선국, 오차보정-
公开(公告)号:KR100694489B1
公开(公告)日:2007-03-13
申请号:KR1020040053400
申请日:2004-07-09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PC: B61L25/02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노선으로 움직이는 열차라는 이동체를 대상으로 적용하여 신뢰성을 갖는 무선을 이용한 위치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기점 유무에 따라 선로상에서 열차가 이동할 때 지상무선국(WAYSIDE RADIO STATION)에서 차량무선국(VEHICLE RADIO STATION)의 위치를 추정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1 차원에서 물체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상차를 이용한 선로상의 열차추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주파수 의 정현파신호를 기준신호로 발생하는 신호발생기, 상기 기준신호를 지상무선국 변조부를 통해 FM방식으로 변조하여 채널1의 반송파에 실어서 차량무선국(VRS)의 수신부로 전송하는 지상무선국 송신부, 차량무선국(VRS)으로부터의 송신신호를 수신하는 지상무선국 수신부, 상기 지상무선국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기 기준신호와 위상을 비교하여 이동체인 차량의 위치에 따라 다른 위상값을 갖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상무선국(WRS1 - WRS3); 그리고 상기 지상무선국(WRS1 - WRS3) 송신부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차량무선국 수신부, 상기 차량무선국 수신부에서 수신한 신호를 FM방식으로 복조하는 차량무선국 복조부, 상기 차량무선국 복조부에서 복조한 신호를 변조하는 차량무선국 변조부, 상기 차량무선국 변조부에서 변조된 신호를 채널2의 반송파에 실어서 지상무선국(WRS1 - WRS3) 수신부로 송신하는 차량무선국 송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무선국(VRS)을 구비하여; 영역1(Z1)에서 지상무선국(WRS1)과 차량무선국(VRS)은 채널CH1과 CH2를 사용하여 열차의 위상정보를 얻으며, 영역1(Z1)과 인접된 영역2(Z2)에서의 지상무선국(WRS2)과 차량무선국(VRS)은 CH3과 CH4를 이용하여 열차의 위상정보를 얻으며, 영역2(Z2)에서 영역1(Z1)과 대향방향으로 인접된 영역3(Z3)에서의 지상무선국(WRS3)과 차량무선국(VRS)은 채널CH1과 CH2를 이용하여 열차의 위상정보를 얻도록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위상차, 열차추적알고리즘, 열차추적시스템, 지상무선국, 차량무선국, 위상추적-
公开(公告)号:KR100572199B1
公开(公告)日:2006-04-18
申请号:KR1020030084614
申请日:2003-11-26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PC: G01M17/08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차륜식 경량전철 차량의 구동시험을 행하는 경우에 차량은 정지상태를 유지하면서 대차의 구동부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후륜을 유지하기 위한 경량전철 차량의 구동시험용 후륜가동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무차륜식 경량전철의 구동시험을 행하기 위해 대차의 구동부에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후륜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몸체의 중앙에 후륜이 안착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용홈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회전롤러와, 상기 프레임을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경량전철, 대차, 고무차륜, 구동시험, 후륜가동대-
公开(公告)号:KR1020050110404A
公开(公告)日:2005-11-23
申请号:KR1020040035379
申请日:2004-05-18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PC: B61D49/00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제어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철도차량을 무인 운전하는 경우, 무인 운전시 승객의 오조작에 따른 차량의 사고 및 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운행제어용 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운행제어용 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의하면, 철도차량의 운행제어용 기기를 수납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운행제어용 기기를 전면에 수납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부를 지지하고, 그 내부에도 운행용 제어기기를 수납하는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에 체결되어 있고, 해제시 상기 전면부의 내부로 회동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가 일정한 반경으로 회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公开(公告)号:KR100528056B1
公开(公告)日:2005-11-15
申请号:KR1020030084617
申请日:2003-11-26
Applican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PC: B61D37/00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에 마련된 보조창에 장착되어 있는 라이트의 설치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차량의 유지ㆍ보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창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품이 없어 차량의 미려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경량전철 차량의 전두부 라이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길게 형성되어 마름모형상을 이루는 전면유리창과, 이 전면유리창의 가장자리 양측에 상변의 폭이 하변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는 보조창을 각각 구비하며, 이 보조창의 안쪽에 헤드라이트 및 테일라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