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관절 운동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사용자의 관절부위에 고정되는 관절고정부, 관절고정부의 일측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제1 고정부, 일측의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관절고정부에 연결된 제2 고정부, 와이어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절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동력을 조절하는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팔을 들어올리면서 재활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의 도움 없이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 재활 치료 기구에 관한 것으로, 팔장착부와 신체장착부 사이에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도록 하여, 액츄에이터의 내부가 팽창되면서 팔장착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고, 액츄에이터의 내부가 수축되면서 팔장착부를 하방으로 내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관절 운동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사용자의 관절부위에 고정되는 관절고정부, 관절고정부의 일측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제1 고정부, 일측의 반대방향에 배치되고, 관절고정부에 연결된 제2 고정부, 와이어에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절 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 및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동작 의도를 판단하고,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동력을 조절하는 상기 동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선기어; 상기 선기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선기어를 선회하면서 회전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고, 상기 유성기어와 접촉 시에 상기 유성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와인딩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기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유성기어는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선기어를 선회하여 상기 와인딩기어에 접촉하여 상기 와인딩기어를 회전시켜서 상기 와인딩기어에 연결된 에너지 저장부에 에너지를 저장시키도록 와이어를 감도록 하고, 상기 선기어가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유성기어는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선기어를 선회하여 상기 와인딩기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형 클러치 기구 및 이를 구비한 도약 로봇을 제공한다.
Abstract:
펜 홀더는 제1, 제2 및 제3 커버부들,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커버부들 각각은 사용자의 엄지, 검지 및 중지 손가락들 각각에 끼워진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커버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커버부들을 서로 근접시킨다.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링크판; 상기 하부 링크판에 대면하여 상부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 링크판에 대하여 당겨지는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상부 링크판; 상기 하부 링크판 및 상기 상부 링크판의 측단 사이에 배치되는 그립퍼 링크판과, 상기 그립퍼 링크판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 링크판의 하부로 연장되며 물체의 표면을 그립핑하는 그립퍼 레그를 포함하는 그립퍼; 및 상기 상부 링크판과 상기 하부 링크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퍼 링크판은 상부 링크판 및 하부 링크판 각각과 연성조인트로 연결되되, 상기 상부 링크판과 상기 그립퍼 링크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성 조인트는 상기 상부 링크판과 상기 하부 링크판이 서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할 때 서로 대향되는 두 방향으로 굽힘 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허용하는 버클링 연성 조인트로 형성된 적응형 그립핑 로봇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장갑형 입는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에 장갑처럼 착용하여 외골격 형태의 구조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을 움직이는 입는 로봇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개선한 장갑형 입는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작게 하여 제작 비용을 낮추고 사용자가 착용기도 편리하며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장갑형 입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는 로봇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크기가 작아져서 사용자가 착용하기 편리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는 로봇은,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작으므로 비교적 낮은 가격에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 기판; 및 상기 유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 전기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도체들이 유연 기판의 변형에 따라 접촉/비접촉 거동하도록 배열하여 이루어진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물질 패터닝을 이용한 변형 감지 유연성 기판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a) PWM 전압 신호가 인가된 SMA 코일 액추에이터의 정상 상태 전압(V steady ) 및 정상 상태 전류(I steady )를 검출하는 단계; (b) SMA 코일 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전류의 과도 응답을 분석하여 nτ에 대응되는 전류 값에 도달하는 시간(t nτ )을 검출하는 단계(τ는 시정수, n은 임의의 수); (c) 검출된 V steady , I steady , t nτ 값을 이용하여 SMA 코일 액추에이터의 인덕턴스(L)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미리 저장된 SMA 코일 액추에이터의 인덕턴스와 변위 대응 관계와 SMA 코일 액추에이터의 인덕턴스(L) 값을 이용하여 SMA 코일 액추에이터의 변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일 액추에이터의 변위 검출 방법과 이를 이용한 구동장치 및 구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팔을 들어올리면서 재활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외부의 도움 없이 사용자가 재활운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 재활 치료 기구에 관한 것으로, 팔장착부와 신체장착부 사이에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도록 하여, 액츄에이터의 내부가 팽창되면서 팔장착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고, 액츄에이터의 내부가 수축되면서 팔장착부를 하방으로 내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